(왼쪽부터) 함기호 AWS코리아 대표, 현신균 LG CNS 대표이사 사장. 사진=LG CNS
(왼쪽부터) 함기호 AWS코리아 대표, 현신균 LG CNS 대표이사 사장. 사진=LG CNS

LG CNS가 아마존웹서비스(AWS)와 손잡고 클라우드 기반 생성형 AI 서비스 대중화에 나선다고 4일 밝혔다.

양사는 최근 서울 역삼동에 위치한 AWS코리아 본사에서 'AWS·LG CNS 생성형 AI 론치 센터' 출범식을 진행했다. 이 센터는 기술, 비용, 시간 문제로 생성형 AI 서비스 구축에 어려움을 겪는 기업이 보다 쉽게 서비스를 도입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전담조직(TF)이다. 생성형 AI, 클라우드 분야의 양사 전문가들이 참여해 AX(AI 전환) 협력을 가속화할 계획이다.

AWS·LG CNS 생성형 AI 론치 센터는 기업을 위한 생성형 AI 서비스 100개를 저비용으로 신속하게 구축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할 계획이다. 기업은 △사용자 맞춤형 챗봇 △마케팅 문구·이미지 생성 서비스 △이슈 요약 및 대응체계 수립 등을 지원하는 이슈관리 통합플랫폼 등 생성형 AI 기술이 적용되는 다양한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LG CNS는 '생성형 AI 퀵 딜리버리' 체계를 활용한다. 생성형 AI 퀵 딜리버리는 기업이 최소한의 기간과 비용으로 생성형 AI 서비스를 기획부터 구현·검증까지 일괄 지원하는 '산업·업무 영역별 사용사례'와 'AI 솔루션'을 제공한다.

회사는 산업 분야에서 생성형 AI 산업을 진행하며 축적한 사용사례를 기반으로, 기업이 생성형 AI 서비스 도입에 대한 구체적인 로드맵을 세울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더불어 LG CNS는 AWS의 다양한 생성형 AI 서비스를 결합해 시너지를 강화한다. 주요 AI 기업 및 아마존의 파운데이션 모델을 손쉽게 활용할 수 있는 완전 관리형 서비스 '아마존 베드록'을 활용해 기업에게 적합한 모델을 선정하고, 효과적으로 생성형 AI 서비스를 만들 수 있다. 

또 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해 AWS가 자체 개발한 업계 최고 수준의 차세대 파운데이션 모델 '아마존 노바', AWS의 고성능 컴퓨팅 특화 하드웨어 등도 활용할 수 있다.

현신균 LG CNS 대표이사 사장은 "AWS와의 협력을 통해 국내 모든 기업의 생성형 AI 도입 문턱을 낮추겠다"며 "앞으로 양사는 생성형 AI 공동사업을 적극 발굴하고, 향후 아시아태평양 및 일본(APJ) 지역으로 시장을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키워드
#AWS #LG CNS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