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어부산 항공기. 사진은 기사 내용과 직접적인 관련 없음. 사진=에어부산
에어부산 항공기. 사진은 기사 내용과 직접적인 관련 없음. 사진=에어부산

지난 1월28일 김해국제공항에서 이륙을 준비하던 에어부산 홍콩행 BX391편에서 발생한 화재는 보조배터리 내부 합선으로 시작된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국토교통부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항철위)는 14일 국립과학수사연구원(국과수)의 정밀 분석 결과, 기내에서 발견된 보조배터리 잔해에서 다수의 전기적 용융흔(녹은흔적)이 확인됐다고 밝혔다.

이는 배터리 내부에서 양극과 음극이 합선돼 '절연파괴'가 일어나면서 최초 발화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국과수는 배터리의 훼손이 심해 정확한 합선 원인을 파악하기는 어렵지만, 배터리가 아닌 다른 곳에서 화재가 발생했을 가능성은 매우 낮다고 설명했다. 

화재는 항공기 왼쪽 30번 좌석 상단 선반 주변에서 발생한 것으로 추정되며, 승객이 촬영한 영상에서는 30번 열 상단 선반에서 처음으로 불길이 일었다. 불에 탄 보조배터리 잔해도 31번 좌석 바닥에서 발견됐다.

이번 사고에 대해 항철위는 지난달 3일 에어부산 화재 사고기에 대해 합동 화재감식을 진행하고, 보조배터리와 관련된 증거물들을 확보했다. 이후 국과수에서 CT 촬영과 현미경 검사 등 정밀 분석을 진행했다.

항철위는 "현재까지의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보조배터리 화재 가능성에 중점을 두고 추가 조사를 계속할 예정"이라며 "조사 과정에서 필요한 안전 조치가 발견될 경우 항공사에 안전권고를 발행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키워드
#에어부산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