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K텔레콤은 세계적 권위의 'GSMA 글로벌 모바일 어워드(이하 GLOMO) 2025'에서 4관왕을 차지하고, 6년 연속 수상했다고 6일 밝혔다.
SKT는 △고성능·고효율 클라우드 플랫폼 '페타서스 AI 클라우드' △사칭 문자 탐지·차단 시스템 'AI APS' △AI 기반의 가상환경 상담 서비스 '메타 포레스트' △AI 분리배출 가이드 '해피해빗'으로 총 4개 부문 수상에 성공했다.
페타서스 클라우드는 소비자와 기업에 다양한 가능성을 제시한 클라우드 기술에 주어지는 '최고의 클라우드 설루션' 부문에서 수상했다. 페타서스 클라우드는 통신사의 효율적인 AI 데이터센터 운영을 지원하는 클라우드 플랫폼이다. 이 플랫폼은 맞춤형 반도체(XPU) 및 그래픽처리장치(GPU) 클러스터 가상화 기술을 이용해 AI 연산에 필요한 고성능 컴퓨팅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최적화한다.
특히 이 플랫폼은 에지 AI(Edge AI) 도입을 통해 사용자와 가까운 위치에서 서비스를 제공해 응답 속도와 보안성을 향상시켜 통신 인프라 운영 효율 개선에도 기여할 것으로 SKT는 기대하고 있다.
AI APS는 '커넥티드 소비자를 위한 최고의 이동통신 서비스' 부문에서 수상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AI APS는 언어 AI 모델을 활용해 문자 메시지와 이미지 파일을 분석해 피싱 문자를 탐지하고 차단하는 기술이다. 앞서 AI APS 설루션에 포함된 AI 챗봇 기반 SNS 사기 방지 기술은 CES 2025에서도 혁신상을 받은 바 있다.
또 AI 분리배출 가이드 서비스는 'UN 지속가능 발전 목표 기여 우수 모바일상' 부문에서, 메타포레스트는 '어린이와 청소년의 삶을 향상시킨 최고의 모바일 혁신상' 부문에서 각각 수상했다. 메타포레스트는 AI 기술을 활용한 메타버스 심리 상담 서비스로, 상담사와 내담자가 실시간 표정 인식이 가능한 아바타를 통해 상호작용하며 상담을 진행하는 플랫폼이다.
SKT는 이번 수상으로 'Tech4Good' 부문에서 6년 연속 수상하며 사회적 가치 창출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을 인정받게 됐다. Tech4Good 부문은 모바일 기술을 활용해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고 더 나은 미래를 만드는 데 기여한 혁신 사례를 선정해 수상한다.
유영상 SKT CEO는 "SKT의 AI 기술들이 실제 고객의 삶과 사회에 긍정적인 변화를 만들어내고 있다는 점에 자부심을 느낀다"며 "앞으로도 SKT는 혁신적인 AI 기술로 글로벌 AI 리더십을 강화하고 사회적 가치를 창출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