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수출입은행
사진=수출입은행

한국수출입은행 여신 잔액 10%가량이 한화그룹 계열사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타 대기업과 비교해 높은 수준이다.

20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차규근 조국혁신당 의원이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올해 8월 말 기준 수출입은행의 여신 잔액은 총 135조6327억원으로 이 중 약 10%에 달하는 13조2천23억원이 한화 계열사 여신으로 나타났다.

수출입은행 여신 지원 상위 10개 기업 여신 잔액은 총 26조6392억원이다. 이 가운데 한화 계열사 한화오션,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여신 잔액이 9조5886억원으로 36%에 달했다.

한화 계열사 대상 수출입은행 여신은 윤석열 정부 출범 직후인 2022년 12월 말 4조4747억원에서 올해 8월 말 13조2523억원으로 3배 가까이 늘었다.

차 의원은 "한화그룹이 지난해 대우조선해양(현 한화오션)을 인수한 효과가 있지만 인수 후 한화오션에 대한 신규 여신 집행 금액도 4조7천223억원에 달해 단순 기업결합 효과로 보기는 어렵다"며 "수출신용기관의 여신이 특정 기업에 너무 많이 쏠리면 공정성 시비가 일어날 수 있다고 여신 리스크 관리 측면에서도 바람직하지 않다"고 말했다.

수출입은행은 지난 4월 한화그룹에 대한 동일 차주 신용 공여 한도 소진율이 법에서 제한하는 50%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자 금융위원회에 예외 취급 승인을 받은 바 있다.

이와 관련 한화그룹 관계자는 "수출입은행 여신 잔액을 단순 수치만 비교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며 "지난해부터 한화그룹 여신 잔액이 크게 증가한 이유는 한화오션(구 대우조선해양) 인수와 방산 수출액 증가 영향이 크며 꼭 필요한 여신이라 부당한 부분은 없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