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DEX TDF2050액티브 ETF, 순자산 1천억 넘었다


사진=삼성자산운용.
사진=삼성자산운용.

TDF(Target Date Fund) 시장에도 ETF의 도전이 거세지고 있다. TDF ETF가 출시된 지 2년여 만에 순자산 1000억원 상품이 등장하는 등 급격한 성장세를 나타내고 있다.

삼성자산운용은 KODEX TDF2050액티브종의 순자산이 1000억원을 돌파했다고 8일 밝혔다. 이는 2022년 6월30일 상장 이후 약 2년 3개월만으로, 지난 연말 기준 264억원에서 754억원 늘어나 2.9배 급증해 동일한 빈티지 TDF2050 상품 30개 중 5위가 됐다(올해 상장 상품 제외). 

KODEX TDF2050액티브의 이러한 성장은 높은 수익률과 ETF의 장점이 결합된 효과로 분석된다. KODEX TDF2050액티브는 상장 후 39.2%의 수익률로 동일 빈티지 TDF 상품들 중에 삼성한국형TDF2050증권투자신탁(UH) 40.1%에 이어 전체 2위를 기록했으며, 연초 이후 수익률도 17.5%로 상위권을 유지하고 있다. 

일반 공모형 TDF의 경우 대부분 해외 펀드에 해당돼 매매 기간이 오래 걸리고 실시간으로 포트폴리오를 확인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는 것에 비해 TDF ETF는 실시간으로 매매와 포트폴리오 확인이 가능하다는 차별점이 있다.

현재 TDF ETF는 4개 운용사에서 총 13개 상품을 상장했으며, 지난 해 말 기준 순자산이 1042억원에서 최근 1945억원으로 86.7% 급증했다. 이는 같은 기간 공모형 TDF의 27.8% 증가를 압도하고 있다.

김도형 삼성자산운용 ETF컨설팅본부장은 "KODEX TDF2050액티브 ETF가 높은 수익률과 편의성을 바탕으로 디폴트옵션 미지정이라는 불리한 조건을 극복하고 출시 2년여만에 순자산 1000억원을 돌파했다는 점에서 매우 의미 있게 생각한다"며 "최근 연금계좌에서 ETF 자동 적립식 서비스를 제공하는 금융회사가 늘어나고 있는 만큼 스마트 연금투자자는 물론 일반 투자자들도 다양한 장점을 가진 TDF ETF에 보다 편리하게 투자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미래에셋자산운용, 'TIGER 2차전지/전기차 ETF' 7종 순자산 총합 4조원 돌파


사진=미래에셋자산운용.
사진=미래에셋자산운용.

미래에셋자산운용은 'TIGER 2차전지/전기차 ETF' 7종의 순자산 총합이 4조원을 돌파했다고 8일 발표했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은 2018년 9월 국내 최초 2차전지 ETF인 'TIGER 2차전지테마 ETF'를 출시한 이후 'TIGER 차이나전기차SOLACTIVE ETF' 등 국내는 물론 중국 2차전지·전기차 산업에 집중 투자하는 상품들을 선보여 왔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7일 종가 기준 국내·해외(중국) 주식형 'TIGER 2차전지/전기차 ETF' 7종의 순자산 총합은 4조 4294억원이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은 국내 2차전지/전기차 산업에서도 다양한 투자 기회를 제공하며 인기를 끌고 있다. 국내 최초이자 순자산 1조원 이상의 국내 최대 2차전지 ETF인 'TIGER 2차전지테마 ETF'를 비롯해 에코프로, 포스코 그룹 등 소재 기업에만 집중 투자하는 'TIGER 2차전지소재Fn ETF'는 순자산 6576억원을 기록했다. 이 외에도 'TIGER 2차전지TOP10 ETF', 'TIGER 2차전지TOP10레버리지 ETF'는 각각 순자산 3898억원, 977억원으로 꾸준한 자금 유입이 이어지고 있다.

정의현 미래에셋자산운용 ETF운용팀팀장은 "전기차 캐즘(일시적 수요 정체) 장기화에 대한 우려를 뚫고 전기차 진입장벽을 낮춰줄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의 급격한 성장세와 로보택시로 열리는 자율주행 비즈니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며 "글로벌 시장에서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는 국내·중국의 2차전지와 전기차 기업들에 집중 투자할 수 있는 방법을 TIGER ETF에서 찾을 수 있다"고 말했다.


DB자산운용, 자산배분형 연금펀드 '디딤펀드' 출시


DB자산운용 ci
DB자산운용 ci

DB자산운용은 2023년 8월 출시해 운용 중이던 DBOCIO자산배분중립형펀드를 디딤펀드의 요건에 맞춰 DB디딤OCIO자산배분중립형펀드로 변경해 선보였다.

DB디딤OCIO자산배분중립형펀드는 국내외 주식, 채권, 대체자산 등의 ETF에 분산 투자하는 자산배분펀드다. 펀드의 운용 목표는 최소 요구 수익률을 '회사채(BBB-이상) 3년+1%'로 설정해 경쟁 상품인 채권펀드보다 높은 수익을 목표로 하고 있다. 실제로, 설정 이후 펀드는 +12.42%의 수익률을 기록하며, 같은 기간 최소요구수익률 대비 +6.38% 초과 성과를 보였다.

DB자산운용은  2021년 말부터 A-cube Simulator (Asset Allocation Analyzer)라는 독자적인 자산배분시스템을 개발해 자산배분운용과 컨설팅에 활용하고 있다. 이 시스템은 다양한 자산구성, 환헤지 방법, 자산별 제약조건을 반영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사용자 맞춤형 포트폴리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A-cube Simulator는 절대/상대 수익률, 최대 손실률, 변동성 등 다양한 관점에서 포트폴리오를 분석할 수 있으며, 과거 주요 이벤트 기간에 대한 스트레스 테스트도 가능하다.

DB자산운용은 향후 이 시스템을 웹버전으로 공개해 퇴직연금 사업자와 투자자들이 직접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자산배분펀드가 투자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꼬리위험(Tail Risk)인 상황, 즉 정상적인 경기 변동에 따른 자산가격 변화가 아닌 지정학적 리스크나 특정 기업 디폴트에 따른 신용경색 등으로 많은 기업이 연쇄적으로 자금 조달에 어려움을 겪는 상황에서 적극적인 위험관리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DB자산운용은 LCI(Leading Credit Index)와 CDI(Cross Dispersion Index)를 자체 개발하고 꼬리위험 시그널이 발생할 경우 적극적으로 위험관리를 시행하고 있다.


NH-Amundi자산운용, 하나로 TDF 설정액 3000억 돌파


사진=NH아문디자산운용.
사진=NH아문디자산운용.

NH-Amundi자산운용은 하나로 TDF 시리즈 설정액이 3000억 원을 돌파했다고 8일 밝혔다. 

신한펀드파트너스에 따르면 지난달 30일 기준 하나로 TDF 전체 시리즈 설정액(클래스 합산)은 3021억원이다. 올해에만 2000억원 가까이 자금이 유입됐으며, 순자산은 3860억원으로 4000억원 돌파를 앞두고 있다. 

하나로 TDF는 세계 최초로 TDF를 출시한 올스프링자산운용(옛 웰스파고자산운용)의 자문을 받아 운용하고 있다. 올스프링의 TDF 운용 노하우를 그대로 접목해 안정성과 수익성을 모두 추구한다. 퇴직연금에서 가장 중요한 원금손실 방어 전략을 도입한 것이 특징이다. 

지난달 30일 기준 시리즈 중 설정액이 가장 높은 하나로TDF2045의 설정 후 수익률은 62.11%에 달한다. 하나로TDF2040 설정 후 수익률은 58.96%, 하나로TDF2035 설정 후 수익률은 52.34%로 우수한 성과를 보이고 있다. 

특히 올해 설정액 증가분 중 약 1000억 원은 디폴트 옵션을 통해서 들어왔다. 디폴트옵션은 퇴직연금 확정기여형(DC형) 제도와 개인형 퇴직연금 제도(IRP)가입자들을 대상으로 사전에 지정한 상품에 자동 가입되도록 하는 제도이다 . 

박동우 NH-Amundi자산운용 WM연금마케팅본부장은 "하나로 완성하는 연금, 하나로 TDF 이름에 걸맞게 퇴직연금 투자자들에게 효과적인 투자 수단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신한자산운용, 'SOL 미국배당 다우존스 TR' ETF 신규 상장


사진=신한자산운용.
사진=신한자산운용.

신한자산운용이 미국배당 다우존스 ETF 중 최초의 배당 재투자 상품인 'SOL 미국배당 다우존스 TR' ETF를 코스피 시장에 상장한다. 

SOL 미국배당 다우존스 TR ETF는 매월 발생하는 배당금을 투자자에게 분배하지 않고 지수에 재투자 한다. 상품명에 있는 'TR'(Total Return)은 총 수익을 뜻하는 용어로 지수의 가격변동에 배당 재투자분을 더한 개념이다.

김정현 신한자산운용 ETF사업본부장은 "SOL 미국배당 다우존스를 적립식으로 꾸준히 모아가는 투자자라면 매월 현금으로 수취한 분배금을 개별적으로 재투자하는 것보다 비용 효율적이며, 특히 투자하는 기간 동안 배당소득세가 부과되지 않기 때문에 일반계좌에서 투자할 때에도 과세이연 효과를 누릴 수 있다"며 "은퇴시점이 상대적으로 많이 남은 2030세대 투자자들의 니즈를 최대한 반영하고자 노력했으며, 미국 배당성장주를 장기간 꾸준히 모아가는 투자자들의 투자 성향과 목적별로 SOL 미국배당 다우존스 시리즈 ETF 4종이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상품 기획 의도를 설명했다.

SOL 미국배당 다우존스 TR ETF는 기존 SOL 미국배당 다우존스, 환헤지 전략이 가미된 SOL 미국배당 다우존스(H), 퇴직연금 계좌에 100% 투자 가능한 SOL 미국배당 미국채 혼합50에 이은 SOL 미국배당 ETF 시리즈 4번째 상품이다. 

김 본부장은 "TR 상품의 장점은 배당금 자동재투자를 통해 ETF의 장기성과·복리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는 것이다"라며 "연금계좌·ISA 등의 절세계좌를 통해 SOL 미국배당 다우존스를 꾸준히 모아가는 투자자들의 투자효율성 증가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