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에셋, ‘TIGER 미국S&P500 ETF’ 최근 1년간 개인 누적 순매수 전체 ETF 1위


사진=미래에셋자산운용.
사진=미래에셋자산운용.

미래에셋자산운용은 'TIGER 미국S&P500 ETF'가 국내 상장된 전체 ETF 가운데 최근 1년간 개인 누적 순매수 1위를 차지했다고 25일 밝혔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24일 종가 기준 'TIGER 미국S&P500 ETF'의 최근 1년간 개인 누적 순매수 규모는 1조 737억원이다. 국내 상장된 ETF 873종목 중 최대 규모다. 뿐만 아니라 해당 ETF는 같은 기간 일평균 거래대금 258억원으로 풍부한 유동성을 자랑하며, 순자산 4조 2284억원(24일 종가 기준)에 달하는 국내 대표 미국 투자 ETF다.

'TIGER 미국S&P500 ETF'는 '나스닥100 지수', '다우존스30 지수'와 함께 미국 3대 대표지수 중 하나인 'S&P500 지수'를 추종한다. S&P500 지수는 미국에 상장된 시가총액 상위 500개 기업으로 구성되어 미국의 전반적인 경제 상황을 반영한다.

TIGER ETF는 'TIGER 미국S&P500 ETF'를 비롯해 현재 국내 투자자들이 가장 많이 선택하는 미국 주식 투자 ETF다. 미국 대표지수에 투자하는 'TIGER 미국S&P500 ETF'와 'TIGER 미국나스닥100 ETF'의 최근 1년간 총 개인 누적 순매수 규모는 1조 4940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국내 상장된 S&P500지수 투자 ETF(9종)와 나스닥100 지수 투자 ETF(5종) 등 총 14종의 전체 개인 누적 순매수 규모인 2조 9360억원의 50% 이상을 차지한다. 미국 대표 지수 ETF의 개인 투자자 자금 절반 이상이 'TIGER 미국S&P500 ETF'와 'TIGER 미국나스닥100 ETF에 투자한 셈이다.

김남호 미래에셋자산운용 FICC ETF운용본부 본부장은 "'TIGER 미국S&P500 ETF'와 'TIGER 미국나스닥100 ETF'는 개인 순매수, 일평균 거래대금 그리고 순자산 규모에서 알 수 있듯이 장기간 좋은 성과를 보이며 개인 투자자들의 활발한 거래가 이어지고 있다"며 "TIGER ETF는 선제적으로 미국 투자에 대한 최고의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국내뿐만 아니라 글로벌 ETF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삼성자산운용 KODEX AI전력핵심설비 상장 2주만 순자산 1천억 돌파


사진=삼성자산운용.
사진=삼성자산운용.

삼성자산운용은 국내 최초 AI전력 ETF인 KODEX AI전력핵심설비가 순자산 1,000억원을 돌파하며 1212억원을 기록했다고 25일 밝혔다. 이 ETF는 지난 9일 상장 첫날부터 기관은 물론 개인 매수세 230억원 이상 이어진 가운데 상장 2주만에 순자산 1천억원을 돌파했다.

KODEX AI전력핵심설비는 국내 전력설비 BIG3 종목인 HD현대일렉트릭(21.2%), LS Electric(23.4%), 효성중공업(15.3%)를 최대 비중으로 편입하는 등 선별된 핵심 종목에 집중 투자할 수 있도록 설계된 ETF다.

현재 AI전력설비 분야는 포스트 AI반도체 테마로 투자자들의 높은 관심을 받고 있다. 일부에서는 AI전력설비 기업들의 주가 상승률이 높았다는 점을 지적하기도 했지만, 최근 주요 기업이 실적 발표를 통해 이러한 우려를 불식시키며 투자자들 투자가 계속되고 있다. 실제로, 23일 HD현대일렉트릭은 2분기 영업이익이 전년대비 257% 증가한 2,100억을 기록해 하루만에 17.69% 상승했다. 

국내 AI전력설비 핵심 기업에 대한 향후 전망도 긍정적이다. AI로 인한 전력부족 현상이 미국을 비롯한 전세계적으로 다가오면서, 전력망 확대에 필수적인 초고압변압기, 전선 등 국내 전력설비 기업들의 수주 신기록으로 이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초고압변압기 분야에서 세계적인 기술력과 생산이력을 가진 국내기업들은 이미 3~4년치 수주를 완료한 상황이다. 또한, 국내 및 미국 현지 공장 가동률이 이미 100%에 달하면서, 국내 기업들은 고마진 위주의 수주를 선별해서 받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처럼 효율적인 수주 전략과 미국 현지 생산능력 등으로 핵심 기업의 수익성은 지속적으로 향상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러한 산업 전망과 기업 실적에 힘입어 상장 이후 개인 투자자는 물론 연기금, 보험, 은행 등에서 순매수가 지속적으로 이어지고 있다.

이대환 삼성자산운용 매니저는 "지금 주요 국가들의 경우 AI로 인한 전력설비, 인프라의 신규 수요도 크지만 그동안 노후화된 전력설비 교체수요까지 더해진 상황이라는 점에서 한국과 미국 등 전력 기업들의 성장 슈퍼사이클은 꾸준히 이어질 것"이라며, "AI전력설비 및 인프라에 투자하는 ETF에 투자자들이 장기적인 관심을 가져볼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KB자산운용, 印 핵심성장 테마 투자‘인도 성장 셀렉션 펀드’출시


사진=KB자산운용.
사진=KB자산운용.

KB자산운용이 25일 'KB 인도 성장 셀렉션 펀드'를 출시했다.

'KB 인도 성장 셀렉션 펀드'는 인도의 핵심 성장 테마에 집중적으로 투자하는 펀드다. 장기적으로 구조적 성장이 기대되고 중단기적으로 기업 이익 성장을 동반하는 5가지 핵심 성장 테마(이커머스 및 유통혁신, 재량소비, 핀테크, 인프라, 첨단제조)를 선별해 투자한다.

대형주와 중소형주를 각각 50% 수준의 비중으로 나눠 균형 있는 포트폴리오를 구성했다. 대형주는 규모의 경제를 통해 경쟁력을 강화하는 대규모 기간산업(인프라, 첨단제조) 등에 투자하고, 중소형주는 내수 시장을 기반으로 고성장하는 이커머스 및 유통혁신, 재량소비, 핀테크 기업 중심으로 담는다.

대표 편입종목은 조마토(Zomato Ltd·4.20%), 바르티 에어텔(BHARTI AIRTEL LIMITED·4.12%), PB 핀테크(PB FINTECH LTD·3.72%), ICICI 뱅크(ICICI BANK LTD·3.07%), 바라트 일렉트로닉스(BHARAT ELECTRONICS LTD·2.96%) 등이다. (7/23 기준) 

산업분류별 비중은 금융(19.72%), 임의소비재(17.47%), 산업재(17.27%), IT(8.82%), 부동산(4.62%) 순으로 인도의 주도 산업군 전반에 고루 분포해 있다.

KB자산운용은 이머징 아시아 주식시장에 대한 폭넓은 운용 및 리서치 경험을 토대로 직접 펀드를 운용하면서 시장 방향성에 맞는 투자 전략을 실행할 예정이다.

이석희 KB자산운용 연금WM본부 상무는 "최근 이머징 시장의 주도국이 점차 중국에서 인도로 바뀌는 변화가 관찰된다"며 "인도 대형주와 중소형주에 고루 투자하는 'KB 인도 성장 셀렉션 펀드'는 인도의 성장에 맞춰 효율적인 투자 기회를 제공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