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바이오 분야 국내 최대 국제 전시·컨벤션 행사인 '바이오플러스·인터펙스 코리아(BIX) 2024'가 10일 막을 올렸다.
'BIX 2024'는 7월 10~12일 서울 코엑스 C홀 및 컨퍼런스룸에서 3일간 열릴 예정이다. BIX 2024는 한국 바이오기업의 세계시장 진출을 지원하고자 산업통상자원부가 한국바이오협회·리드엑시비션스코리아와 2020년부터 여는 행사다.
이번 'BIX 2024'에는 15개국, 총 250개 기업이 참가했다. 450여개 부스가 설치됐고, 35개 발표 세션이 마련됐다. 역대 최대 규모다.
BIX 2024에서는 위탁개발생산(CDMO), 소재·부품·장비(소부장), 디지털 헬스케어, 콜드체인 등 바이오산업 전 분야를 아울러 업계 관계자들에게 폭넓은 인사이트를 제공할 계획이다. 참가 기업들은 행사에서 파트너링을 추진해 새로운 비즈니스를 구축할 수 있다.
이날 오전 9시부터 진행된 'BIX 2024' 개막식에는 강경성 산업부 제1차관, 고한승 한국바이오협회장, 바이오 클러스터를 조성 중인 튀르키예에서 체틴 알리 돈메즈 산업기술부 차관 등이 참석했다.

고한승 한국바이오협회장은 BIX 2024 개막식에서 "통상 바이오 컨퍼런스를 가보면 별로 볼 게 없다고 말하지만, 이번 행사에는 차별점을 두기 위해 각 기업의 시제품과 기존 제품을 살펴볼 수 있도록 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제품을 직접 사용하고 관련 설명을 들으면서 (기업 간) 협력 관계를 만들 수 있도록 노력했다"며 "전문가들을 엄선해 세미나 세션으로 모시기도 했으니 정보 교류를 많이 하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고 회장은 국내 바이오업계의 불황이 생각보다 오래 이어지고 있다고 평가하면서도 곧 업황이 반등할 것이라는 전망도 내놨다. 그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유행이 끝나면 일상으로 돌아갈 것으로 생각했는데 전문의(전공의) 파업(집단행동)으로 어려움이 지속되고 있다"며 "곧 이 긴 터널의 끝이 보이기 시작하고 있으니 조금 더 인내하자"고 말했다.
그러면서 "바이오업계가 일을 더 잘할 수 있는 토대를 정부가 만들어주고 있다"며 "업계가 실력을 키우고 대응을 잘하면 미래에 한국 여러 산업 중 바이오산업이 큰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기대감을 표출했다.
강경성 산업통상자원부 제1차관은 "바이오 산업은 '제2의 반도체'로 불리는 미래 성장 동력 산업"이라며 "정부는 국내 바이오 기업의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위해 생태계 조성에 온 힘을 기울이고 있다"고 말했다. 또한 "이번 행사를 계기로 국내 바이오 산업이 성장하고 국내외 기업간 비즈니스 기회가 확대되길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개막식이 끝난 후 고한승 한국바이오협회장은 참석자들과 함께 바이오 부스 체험에 나섰다. 고 회장은 STGEN BIO, PROTIUM SCIENCE, 디지털헬스 스페셜 파빌리온, 옐로시스 주식회사, 삼성바이오에피스, 삼성바이오로직스, 바이오소부장 연대협력협의체, BIOTECHNOLOGY BIYOSAD, TST Orthopedics, KANO, MERCK 등 다양한 부스들을 방문해 기업의 핵심 솔루션에 대한 설명을 들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