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거래소가 상장 예비심사 지연 해소를 위해 전문 인력을 확충할 계획이다.
한국거새로는 최근 기술특례 상장 신청 증가에 기인한 상장예심 지연 해소 방안으로 심사를 전문화하고 심사 절차·관행 개선 등의 방안을 마련해 시행할 것이라고 27일 밝혔다.
최근 기특 상장 신청 기업 수는 2021년 48곳(36.4%)에서 지난해 58곳(43.6%)으로 늘었다. 올해는 4월까지 17곳(47.2%)이 신청했다.
거래소는 심사 속도를 높이기 위해 심사 난이도가 높고 상대적으로 장기간이 소요되는 기특 기업과 일반 기업의 심사를 완전히 분리해 심사 효율을 제고하고 전문성을 강화한다.
기술기업상장부는 팀별로 전담산업 전문 심사체계를 구축하고 산업 특성을 반영한 심사기준을 수립하며 심사 기법 고도화를 추진한다.
심사이슈 해소에 필요한 기간을 예상해 우선처리가 가능한 기업은 신청순서에 관계 없이 우선 처리하고, 단기간 내 해소가 어려울 것으로 예상되면 최소기한 내 처리를 원칙으로 한다. 또 주관사와 사전협의를 활성화해 주요 이슈사항을 사전에 논의하고 심사이슈 해소 후 신청할 수 있도록 유도하겠다는 방침이다.
또한 심사지연의 신속한 해소를 위해 특별심사 운영 TF를 설치하고, 심사인력을 추가 배치한다.
거래소는 이번 심사 전문화로 심사품질 향상과 심사기간 단축 효과를 동시에 끌어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거래소는 앞으로 심사지연 해소를 위한 프로세스 효율화, 제도개선 등을 지속적으로 검토하고 추진할 예정이다.
관련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