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카드 본사 전경. 사진=우리카드
우리카드 본사 전경. 사진=우리카드

우리카드가 개인회생 절차 고객을 상대로 압류 절차를 진행해 논란에 휩싸였다. 하지만 실상은 금융사 선택 절차를 누락한 고객 실수 탓으로 드러났다. 우리카드는 억울하게 비판 프레임에 갇힌 셈이다.

16일 카드업계에 따르면 최근 우리카드가 개인회생 절차에 들어간 고객을 대상으로 압류 절차에 들어갔다는 논란이 불거졌다.

하지만 이는 개인회생을 진행 중인 고객이 이용 금융사를 선택하는 과정에서 우리카드를 누락하며 발생한 사실로 알려지며 상황이 뒤바뀌었다.

금융사는 고객의 개인회생 여부를 알 수 없어 우리카드도 해당 사실을 모르고 압류 조치를 취했으며 사실을 알게된 직후 즉시 압류를 해제했다.

우리카드는 누락 사실 인지 즉시 즉시 압류 절차 해제는 물론 도의적인 책임을 위해 금전적인 보상에 나섰으나 고객은 우리카드가 제시한 보상보다 더 큰 대책을 요구하며 금융감독원 진정까지 제출한 것으로 알려졌다.

우리카드 관계자는 "개인회생 절차를 신청할 당시 신청자가 연체 등 금융사를 선택해야 하는데 이를 누락해 발생한 일"이라며 "압류 절차를 진행 과정에서 고객 문의로 알게 됐다"고 설명했다.

또한 "절차상 해당 사실을 통보 받기 전까지 금융사는 알 방법이 없다”며 "우리카드가 해당 사실을 인지해 바로 해제하면서 고객의 금전적 손해는 발생하지 않았지만 고객의 불편을 끼쳐 도의적인 책임을 위해 보상 절차를 진행 중이다"고 덧붙였다.

이어 "하지만 해당 고객이 우리카드에서 제시한 금액보다 과도하게 높은 금액을 요구해 합의에 이르지 못했고 금융감독원 등에 조사를 요청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실제로 개인회생 절차에 들어간 개인회생정보는 회생 신청 이후 최장 1년 이상 경과된 시점에서 금융권에 통지돼 금융당국이 2017년 이후 지속해서 제도를 개선하고 있다.

카드업계 관계자는 "개인정보 등의 이유로 개인회생정보를 금융사에 통보해 주기 전까지 알기는 쉽지 않다"며 "우리카드도 억울한 상황에서 도의적인 책임을 다해 보상에 나선 것은 오히려 칭찬받아 마땅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