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는 한국문화재재단과 함께 오는 17일 국가유산청 출범을 기념해 종묘 향대청 전시관을 재개관하고 향대청 옆 망묘루 내부를 특별 개방한다고 16일 밝혔다.
향대청은 종묘제례 때 사용하는 향과 축문, 폐백을 모셔 보관하고 제례를 진행하는 제관들이 대기하던 곳이다. 함께 개방되는 망묘루는 조선시대 종묘 관리를 담당한 관서인 종묘서(宗廟署)가 있던 건물로, 제례를 지내러 온 국왕이 선왕을 추모하며 남긴 글을 현판으로 만들어 걸어두기도 한 곳이다.
이번 개방될 종묘 향대청 전시관은 상설 운영되며, 왕실 유교 사당 종묘와 종묘제례 및 종묘제례악의 의미와 가치에 쉽게 다가갈 수 있도록 설명하는 '드오'실과 '지오'실 두 개의 전시관으로 구성된다.
드오실은 세계유산 종묘를 주제로, 종묘의 주인인 신주가 만들어지는 과정을 그림책으로 알아볼 수 있다. 종묘에 모셔진 국왕의 신주와 일반 사대부 신주, 공신당에 모셔진 배향공신의 신주, 현대 가정의 제사 때 모시는 지방을 통해 제례에서 조상과 만나는 매개가 되는 신주의 의미를 조명한다. 더불어 1395년부터 1991년까지 종묘 정전과 영녕전의 변화과정, 숫자로 보는 정전 건축의 특징과 실제처럼 구현한 태조 신실 공간도 마련된다.
지오실은 인류무형유산 종묘제례와 종묘제례악을 주제로 한다. 조선시대 국왕이 직접 지내는 종묘제례 때 반차(班次, 의례 시 각종 기물과 참여자들의 자리 배치)를 콜린 진 레고 작가가 구현한 '레고 오향친제반차도'를 관람할 수 있다. 왕과 왕세자, 제관들, 종묘제례악을 연행하는 악대와 무용수, 제례를 참관하는 문무관원 등 209명의 인물과 26종의 악기를 2만 개가 넘는 레고블록으로 생생히 표현했다. 지오실에서는 종묘제례 절차에 따른 종묘제례악을 모두 감상할 수 있고, 종묘제례와 종묘제례악 전승자들의 인터뷰 영상도 볼 수 있다.
종묘 향대청 관람 전시는 종묘 시간제 관람 일정(평일) 중 해설사와 함께 1시간 동안 종묘 일원을 관람한 후 전시를 볼 수 있으며, 일반 관람 일정(주말, 공휴일, 문화가 있는 날) 중엔ㄴ 해설 없이 자유 관람 가능하다.
향대청 옆 망묘루는 오는 17일부터 6월 30일까지 특별 개방된다. 망묘루에서는 조선시대 종묘서(宗廟署)부터 오늘날의 궁능유적본부 종묘관리소에 이르기까지 종묘를 가꾸고 관리하는 유산관리자들의 이야기를 조명한다. 누마루에서는 신록을 맞은 연지(蓮池)와 종묘 전경을 조망하며 기념사진을 남길 수 있고, 종묘 정전 모형을 조립해 보는 체험 프로그램도 실시된다.
- 문화재청, 새 이름 '국가유산청'으로 17일 정식 출범
- 문화재청, 공무직 2000여명 개인정보 내부망서 유출
- '여진구와 함께 여행가자' 문체부 '6월 여행가는 달' 캠페인 실시
- 열기구 타고 유적 감상, 부소산성·관북리유적 하늘서 즐기자
- 문화재청, 국가유산청 전환 맞이 '국제 심포지엄' 개최
- 전북 전주서 역사·한복·영화 강연 담은 '책마루' 강연 열린다
- 문화재청, 전국 76개소 국가유산 무료 개방
- 문화재청 '해설과 함께하는 궁중무용' 창경궁 앞마당서 공연
- 문화재청, 부안 유천리 요지서 12~13세기 고려청자 가마터·공방지 발굴
- 국가유산청, 국가유산 디지털 데이터 48만 건 무료 개방
- 공주시, 디지털 문화유산 축제 '2024 디지털유산 페스타' 개최
- 국가유산청 '2024 코리아 온 스테이지' 경복궁 앞서 개최
- 국가유산청, 시각장애인 위해 '만지고·듣는' 4대궁 해설 운영
- 신라 고분 중요 유적 '경주 금척리 고분군' 21일부터 조사 시작
- 가상현실로 만나는 정조 화성 행차, 디지털 전시 '실감 화성實感 華城'
- 국가유산청, 포스코인터내셔널과 국외 문화유산 안내판 제작·설치 협력
- 국가유산청, 해양수산부와 등대유산 등 보존·활용 위한 협약 체결
- '다 같이 전주마블' 전주시, 문화유산과 함께하는 '전주문화유산야행' 개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