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사고 발생현황. 사진=삼성화재 교통안전문화연구소
전기차 사고 발생현황. 사진=삼성화재 교통안전문화연구소

삼성화재 교통안전문화연구소가 3일 '전기차 고전압 배터리 재제조 활성화 필요성'을 발표했다. 

이번 발표는 2019년부터 지난해까지 삼성화재 자동차보험 가입 전기차 사고접수 건을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다.

삼성화재 교통안전문화연구소에 따르면 최근 5년(2019~2023년) 국내 전기차 보급(등록)대수는 6.0배, 사고발생 건수는 6.8배 증가했으며 특히 고전압 배터리 손상사고는 14.1배나 늘었다. 

그러나 배터리 케이스 스크레치 등 전기차 배터리 경미 손상사고임에도 고가의 신품 배터리로 전체 교체 수리하는 사례가 대부분이며 전기차 보급 확대에 따른 환경 측면의 사고 전기차 사용 후 폐배터리 발생 최소화와 전기차 수리비 사회적 비용 절감 등을 위한 배터리 재제조 활성화 등의 대책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3년 삼성화재 자동차보험 가입 전기차의 배터리 손상사고 423건 중 전손 처리한 297건을 제외한 전기차 수리대상 126건을 분석한 결과 102건(81.0%)이 배터리 케이스 교환 및 전장 부품(모듈 교환)으로 수리가 가능한 배터리 손상사고 건으로 진단됐다.

전기차 전용 진단장비를 활용한 안전진단, 외관 육안 검사 등을 통해 배터리 성능 및 기수밀 등 안전 검사 결과 이상이 없었으며 특히 이 중 97건(77.0%)는 배터리 케이스 교환만을 통해 수리가 가능한 건이었다.

전기차 배터리 손상(파손) 주요 원인은 도로 상의 돌 등 노면 이물질에 의한 배터리 손상사고가 46.0%를 차지해 가장 빈번한 전기차 배터리 손상 사고 원인으로 나타났으며 연석, 과속방지턱 등 도로시설물에 의한 배터리 손상도 38.9%에 달했다.

차대차 충돌 또는 차량단독사고에 의한 배터리 손상사고 건은 전체 분석 대상 전기차 배터리손상사고의 5.6%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기차 재제조 단계별 주요 문제점 및 개선방안. 사진=삼성화재 교통안전문화연구소
전기차 재제조 단계별 주요 문제점 및 개선방안. 사진=삼성화재 교통안전문화연구소

전기차 사고시 제작 사 조차 수리·교환을 판별할 수 있는 객관적인 기준이 명확하지 않고 일부 제작사는 배터리 케이스가 긁힌 정도의 경미 사고 조차 부분 수리를 할 수 없도록 부품을 공급하지 않거나 내부정책을 근거로 신품 배터리팩 전체 교체만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정비현장을 고려한 재제조 배터리의 성능평가 및 안전기준을 마련을 통해 배터리 재제조 시장 활성화가 필요한 상황이라고 삼성화재 교통안전문화연구소는 진단했다.

김승기 삼성화재 교통안전문화연구소 책임연구원은 "국내 전기차 보급대수는 2023년 50만대를 넘어 내년에는 전기차 100만대 시대가 열릴 것으로 전망돼 이에 따른 전기차 교통사고도 증가추세에 있다"며 "고가의 전기차 배터리 파손사고가 증가하고 있지만 수리기준 부재로 대부분 경미한 손상에도 전체 신품 교체 수리가 대부분이다"고 말했다.

이어 "환경측면에서 사고 전기차의 사용후 폐배터리 발생 최소화와 전기차 수리비 사회적 비용 절감 등을 위해 전기차 배터리 수리기준 명확화와 배터리 재사용 중심의 사용후 배터리 안전성 검사제도를 재제조 배터리까지 확대 적용해 재제조 산업 경쟁력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