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다중채무자들이 급증하고 있다. 이들의 상환 능력도 한계에 다다른 것으로 보인다. 

한국은행과 더불어민주당 양경숙 의원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 기준 국내 가계대출 다중채무자가 전분기 대비 2만명 늘어난 450만명으로 집계됐다. 전체 가계대출자 중 다중채무자의 비중도 22.7%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다중채무자는 3개 이상 금융기관에서 대출받은 차주를 의미한다. 이들의 전체 대출 잔액은 568조1000억원, 1인당 평균 대출액은 1억2625만원으로 전분기 대비 각각 4조3000억원, 160만원 줄었다.

대출 상환 능력은 한계에 다다른 것으로 추정된다. 다중채무자의 평균 연체율은 지난해 3분기 1.5%로 추산됐다. 2019년 3분기 이후 4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으로 올랐다. 

이들의 평균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은 58.4%로 소득의 약 60%를 원리금 상환에 쓰는 상황이다. 당국과 금융기관 등은 DSR이 70% 안팎이면 최소 생계비를 제외한 대부분의 소득을 원리금 상환에 사용하는 것으로 본다. 

다중채무자의 26.2%인 118만명은 DSR이 70%를 넘었고, 14.2%인 64만명은 아예 100%를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가계대출자 중 DSR이 70%를 넘은 차주는 279만명에 이른다. 

지난해 3분기 취약 차주는 전체 가계대출자 중 6.5%를 차지했다. 2020년 3분기 이후 3년 만에 최대 기록이다. 취약 차주는 소득 하위 30% 또는 신용점수 664점 이하인 다중채무자다. 

취약 차주의 평균 DSR은 63.6%, 취약차주 중 35.5%인 46만명은 DSR이 70% 이상이었다. 

키워드
#대출 #채무 #상환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