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는 올해 1분기 수출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8~9% 증가한 1650억 달러 내외에 이를 것으로 5일 전망했다.
은은 이날 발표한 '2023년 4분기 수출실적 평가 및 2024년 1분기 전망'에서 수출선행지수 전년동기 대비 감소폭이 2분기 연속 축소되고 있어 수출 경기 전환세가 유지될 것으로 예상했다.
지난해 4분기 수출액은 지난해 동기보다 5.8% 증가했으며 전분기보다는 7.1% 늘어난 1682억달러다.
2022년 4분기 이후 수출실적은 4분기 연속 감소를 기록했으나 반도체·선박·석유화학 등이 개선되면서 오름세로 전환했다.
품목별로는 반도체, 자동차, 일반기계 등 15대 주력품목 가운데 11개 품목, 지역별로는 미국, 일본, 아세안 등이 증가했다. 2023년 연간 수출액은 전년 대비 7.5% 감소한 6324억 달러다.
2024년 1분기 수출선행지수는 122.3으로 전년동기 대비 1.5p, 전기 대비 1.8p 하락했다. 내림세를 보이다 2분기 연속 전기 대비 상승했던 수출선행지수가 다시 소폭 하락하는 등 등락을 거듭하면서 수출 경기 전환을 위한 바닥을 다지고 있는 상황
수은 관계자는 "우리 수출 비중이 큰 반도체 업황이 개선되고 부진했던 전년 1분기 기저효과 영향으로 전분기에 이어 수출 증가세는 지속될 전망이다"라며 "다만 중국 경기 회복이 지연되고 중동 분쟁 등 지정학적 리스크가 커지며 불확실성이 확대될 경우, 글로벌 경기 부진이 지속되면서 수출 증가폭은 축소될 수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수출입은행, 설 맞아 사회복지시설에 1억8천만원 기부
- 수출입은행 '3-3-3 상생금융'으로 민생금융지원 동참
- 수출입은행 ‘사우디 데스크’ 설치···중동사업 전담 창구 역할
- 수출입은행, 미국 수은 등과 한국 기업 미국 투자 지원 논의
- 수출입은행, 20억달러 규모 글로벌본드 발행
- 수출입은행 자본금 25조까지 늘린다…대출 여력 상승
- 수출입은행, 독일 부흥은행과 첨단산업·공급망 협력
- 수출입은행, 미국 에너지부(DOE)와 금융협력 협약
- 수출입은행, 전국 다문화가족 지원기관 13곳에 차량 기증
- 수출입은행, EDCF 중기전략과 대폭 개선된 제도 소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