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화체육관광부(이하 문체부)와 국립국어원은 지난해 어려운 외국 용어 67개를 쉬운 우리말로 다듬었다고 11일 밝혔다. 이 가운데 국민은 ‘칠링 이펙트’를 다듬어 써야 할 말 1위로 꼽았고, 가장 잘 다듬어진 말로는 ‘솔로 이코노미’를 바꾼 ‘1인 가구 경제’를 골랐다.
문체부와 국어원은 지난 2023년 한 해 동안 ‘쉬운 우리말 쓰기 사업’의 하나로 우리 사회에 유입된 낯선 외국 용어를 알기 쉬운 우리말로 다듬는 일을 진행했다. 그 결과 3월부터 11월까지 18차례의 전문가 논의와 국민 수용도 조사를 거쳐 ‘솔로 이코노미’, ‘칠링 이펙트’, ‘멀웨어’, ‘킬러 아이템’ 등 외국 용어 67개를 쉬운 우리말로 다듬었다.
2023년에 다듬은 외국 용어 중 쉬운 우리말로 바꾸어 써야 한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던 용어는 ‘칠링 이펙트’였다. ‘칠링 이펙트’는 ‘과도한 규제나 압력으로 말과 행동이 위축되는 현상’을 뜻하는 것으로 ‘위축 효과’로 다듬었다. 그 외에 ‘멀웨어’, ‘생크추어리’, ‘콜 포비아’ 등도 쉬운 우리말로 바꿔 써야 한다는 응답이 많았는데 각각 ‘악성 프로그램’, ‘동물 보호 구역’, ‘통화 기피증’으로 다듬었다.
가장 잘 바꾸었다고 국민이 선택한 말은 ‘1인 가구 경제’였으며 응답자의 92.3%가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1인 가구 경제’는 ‘일인 가구를 대상으로 이루어지는 여러 가지 경제 활동’을 뜻하는 말로 ‘솔로 이코노미’를 알기 쉽게 다듬은 말이다. 이외에도 ‘악성 프로그램’, ‘예술품 투자’, ‘위축 효과’ 등이 잘 다듬어진 말로 선정됐다. 각각 ‘멀웨어’, ‘아트 테크’, ‘칠링 이펙트’를 쉬운 우리말로 바꿨다.
2023년 국민 수용도 조사 결과, 응답자의 90% 이상이 한 달에 한두 번이나 일주일에 한두 번은 ‘기사나 방송, 공문서 등에서 외국어를 접촉한다’라고 답해 일반 국민이 일상생활에서 외국어를 접하는 빈도는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절반에 가까운 응답자(평균 48%)가 기사나 방송, 공문서 등에 외국 용어가 있어 ‘내용을 파악하는 데 방해가 된다’라고 답했다.
한편, ‘키오스크’, ‘테이블 오더’, ‘무라벨’과 같이 많이 들어본 외국 용어일수록 우리말로 바꿀 필요가 적다고 답해 어려운 외국 용어가 우리 언어생활에 정착되기 전에 쉬운 우리말로 바꾸는 것이 중요함을 나타냈다.
- 오픈 페이스→열린 쉼터, 국민 선정 '가장 적절히 다듬어진 우리말'
- ‘피크 아웃’의 쉬운 우리말은 ‘하락 전환’…대체어 선정
- ‘헤드라이너’는 ‘대표 출연자’로…우리말 대체어 선정
- ‘멀티데믹’의 쉬운 우리말은 ‘감염병 복합 유행’
- ‘마이크로투어리즘’은 ‘근거리 여행’으로…대체어 선정
- ‘디지털 트윈’의 쉬운 우리말은 ‘가상 모형’
- '시발역→출발역', '발차→출발'…철도 용어 바뀐다
- ‘노마드 워커’는 ‘유목민형 노동자’로…순화어 선정
- '뉴 스페이스'는 '민간 우주 개발'…'그루밍 성범죄'는 '환심형 성범죄'로
- ‘네버 코비드’는 ‘코로나 비감염’으로…순화어 선정
- ‘로컬 소싱’의 쉬운 우리말은 ‘현지 조달’…순화어 선정
- 尹대통령 상징 '도어스테핑' 우리말로 '출근길 문답'…순화어 선정
- ‘코리아그랜드세일’ 개막…“관광객 2000만 달성 시동”
- 장애인 생활체육 참여율 33.9%…역대 최대
- “문화로 지역균형발전 이끈다” 문체부 정책사업 설명회
- ‘사진으로 확인된 5·18’…문체부 종합자료집 발간
- 문체부, 해외문화홍보원 폐지…국제문화홍보정책실 신설
- 국립국어원·교육과정평가원, 연구 협력 위해 '맞손'
- 국립한국문학관 올해 초 착공…문체부, SH공사와 업무협약
- “웹툰·웹소설, 도서정가제 적용 제외”
- '웹툰계 넷플릭스' 만든다…국제 시상식도 신설
- 19년 만에 새 외국인 카지노 문 연다…문체부, '인스파이어' 허가
- 국립국어원, '근현대 국어사전' 서비스 시범 개통
- 국립국어원, 日 한국어교육학회와 교류 협약 체결
- 무인 기기 용어, 이제는 쉬운 말로…국립국어원 개선안 마련
- 국립국어원, 글쓰기 진단체계 개발 위해 대학 협력 강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