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캐피탈 부동산PF 시장이 고금리와 부동산 경기 회복 지연 등으로 어렵지만 캐피탈 업계 손실흡수 능력과 재무건전성을 고려하면 충분히 감내할 수준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여신금융협회는 4일 '캐피탈업계 PF' 자료를 통해 이렇게 밝혔다.
여신금융협회 관계자는 "지난해 9월말 기준 총 자본은 33조2000원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등 손실흡수능력이 확충되고 있다"며 "아울러 지난해 3분기 부동산PF 대출의 요주의 이하 여신비율 증가는 부동산 경기 회복 지연 장기화에 대비 선제적이고도 엄정한 사업성 평가 등을 통해 해당 여신에 대해 약 1조원 수준의 충분한 충당금(준비금)을 적립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캐피탈업권 부동산 PF 시장 정상화를 위한 자연스러운 연착륙 과정으로 볼 수 있으며 지난해 9월말 기준 PF 대출 연체율 또한 대손상각 등 리스크 관리 강화로 상승 폭이 축소되고 있는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또한 "최근 여전채 시장은 여전채 매수세 강화로 국고채와의 스프레드가 축소되는 등 점차 안정세로 회복 중이다"며 "PF리스크 증대 가능성에 대비해 높은 유동성 비율 유지 등 선제적 노력도 병행 중에 있으며 PF를 취급 중인 여전사가 대부분 지주계 계열회사로 대주주의 지원능력도 충분한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캐피탈업권은 PF대주단 협약과 PF정상화 지원펀드 조성 등 사업장 재구조화를 통한 정상화 노력을 지속할 예정"이라며 "금융당국과 함께 PF리스크가 업권 전반으로 확산되지 않도록 충분한 충당금 적립을 통해 손실흡수능력을 강화하고 적극적인 부실채권 정리를 통해 건전성을 제고하여 PF리스크를 적극적으로 축소해 나아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