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대자동차·기아는 급변하는 글로벌 모빌리티 시장 환경에 적극 대응하고, 전사의 미래 모빌리티 연구개발 역량을 결집하기 위해 전면적인 연구개발 조직 개편을 추진한다고 28일 밝혔다.
전기차(EV) 업체 간 가격 경쟁 심화와 SDV(Software Defined Vehicle) 전환 가속화 등 글로벌 자동차 개발 환경이 급변하는 가운데, 그동안 현대차·기아는 다각도로 혁신 기술과 차량 개발을 추진해 왔다.
구체적으로 현대차그룹의 글로벌 소프트웨어(SW)센터인 포티투닷(42dot), 현대차·기아 내 조직인 CTO(Chief Technology Officer), GSO(Global Strategy Office), SDV본부 등이 각각의 전문성을 바탕으로 긴밀한 협업을 통해 미래 모빌리티 시장 변화에 대응해 왔다.
다만 조직 분산 및 리더십 이원화로 인해 발생하는 혁신 전략의 일관성 부족과 협업 체계의 복잡성 등이 연구개발 속도를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지적돼 왔다.
이에 현대차·기아는 전통적인 차량 개발의 패러다임에서 벗어나 차세대 SW(소프트웨어)-HW(하드웨어) 아키텍처 통합 최적화와 파괴적인 원가 혁신 시도 등을 주도하는 '혁신 연구개발 전담 조직'을 신설할 계획이다.
현대차·기아의 기술 개발을 총괄했던 김용화 CTO 사장은 일선에서 물러나 고문으로 위촉됐다.
현대차·기아 관계자는 "소프트웨어-하드웨어 기술 간 시너지 통해 SDV를 포함한 미래차 경쟁력을 조기에 확보하고자 연구개발 조직 개편을 준비하고 있다"며 "2024년 1월 내 세부적인 개편안을 발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 'CES 2024', 삼성·LG·현대가 보여줄 미래는?
- 다시 전성시대 맞은 현기차 '하이브리드'..."꾸준한 기술개발 밑거름"
- '3년 9개월 만에' 제네시스 G80 부분변경 모델 출시
- 현대차, '2024 인도 올해의 차' 2관왕 달성
- '2024 대한민국 올해의 차' 자동차 전문기자가 뽑는 최고의 차는?
- [신년사] 정의선 회장 "끊임없는 변화·혁신으로 미래 준비해야 할 때"
- 현대차, 2023년 총 421만6680대 판매…400만대 선 회복
- 현대차·기아, 美 고어와 수소전기차 전해질막 개발 협약
- 현대차, 수소·소프트웨어로 대전환 "인류 중심 삶의 혁신 가치" [CES 2024]
- 기아, PBV개념 재정의…'고객 중심의 토탈 모빌리티 솔루션' 제시 [CES 20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