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성자산운용은 자사 모바일 비교 분석 플랫폼인 '펀드솔루션'을 이용하는 회원 중 자산관리를 돕는 판매자(PB) 와 일반 투자자 총 3841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퇴직연금 안전자산 30%, 어디에 투자하세요?'라는 설문에서 'ETF'가 '예금·적금'을 누르고 투자자들의 가장 많은 선택을 받았다고 1일 밝혔다.
이번 설문에서 PB 908명 중 524명(58%), 일반 투자자 2933명 중 2272명(77%)이 퇴직연금 안전자산 30%를 ETF로 투자한다고 응답했다. 두번째로 PB 261명(29%)이 '예금·적금'을 골랐고, 나머지 123명(14%)이 '펀드'를 선택했다. 일반 투자자 또한 같은 순서로 537명(18%)이 '예금·적금'을, 124명(4%)이 '펀드'를 선택했다. PB와 일반 투자자 모두 'ETF', '예적금', '펀드' 순이었으나 일반 투자자들이 좀 더 높은 비중으로 ETF를 활용한다고 응답했다.
ETF 중에서는 단기채권형 및 파킹형 ETF 상품이 우세했다. 퇴직연금 안전자산 30% 투자로 ETF를 선택한 PB 524명 가운데, KODEX ETF로 투자한다고 응답한 489명은 실제 투자하는 상품에 대해 'KODEX 단기채권(22%)', 'KODEX TDF2050액티브(18%)', 'KODEX 24-12 은행채(AA+이상)액티브(10%)' 순으로 응답했다. 일반 투자자 2272명 중 KODEX 상품으로 투자한다고 밝힌 2195명은 'KODEX CD금리액티브(23%)', 'KODEX 단기채권(20%)', 'KODEX iShares 미국인플레이션국채액티브(11%)' 순으로 응답했다.
PB보다 일반 투자자들이 좀 더 보수적인 파킹형 또는 단기 안정형 상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다. PB의 경우 주식 편입비중이 제일 높은 KODEX TDF 2050 액티브 ETF를 편입해서 퇴직연금 내 성장자산 비중을 최대화하는 전략을 사용하는 점이 눈에 띈다.
이번 설문 결과에 대해 김도형 삼성자산운용 ETF컨설팅본부장은 "PB 및 일반 투자자 모두 퇴직연금 안전자산 투자 비중으로 예적금 대비 ETF에 대한 선호도가 상당히 높은 수준으로 나타난 점이 인상적"이라며 "물론, 이번 응답자들이 다양한 상품 정보를 접할 수 있는 운용사 앱을 활용할 만큼 일반 퇴직연금 투자자들보다 투자에 적극성을 가지고 있다는 점을 감안해야 하지만, ETF의 상품 유형이 주식형 위주에서 파킹형, 단기채권형, 만기매칭형 등 안정형 상품으로 다양해지면서 단순 원리금보장 상품을 충분히 대체할 수 있을 만큼 투자자들 사이에서 경쟁력을 확보해 가고 있다는 점은 명확해 보인다"고 말했다.
김 본부장은 "KODEX ETF는 앞으로 연금저축 계좌와 더불어 퇴직연금에서도 100% 투자할 수 있는 다양한 상품을 지속적으로 출시해 향후 퇴직연금 투자자들이 국내 채권형 ETF뿐 아니라 보다 다양한 선택권을 가질 수 있도록 꾸준히 노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 KODEX CD금리액티브, 순자산 5조원 돌파
- 삼성자산운용 'KODEX 미국FANG플러스' 1년 수익률 73.8%…전체 1위
- 삼성자산운용 'KODEX CD금리액티브', 역대 최단기간 순자산 4조 원 돌파
- 삼성자산운용, KODEX AI반도체 핵심장비 ETF 신규 상장
- 삼성자산운용, 美 금융시장에 국내 ETF 상품 첫 수출
- [인사] 삼성글로벌리서치
- 삼성자산운용, ‘웹어워드코리아 2023’ 최고대상 수상
- 삼성운용 부사장에 최창희 삼성생명 상무 선임
- KODEX 24-12 은행채액티브, 역대 최단기간 순자산 2조원 돌파
- 자산운용사, 순이익 증가했지만…적자·자본잠식 회사도 늘었다
- 삼성자산운용, KODEX 26-12 회사채(AA-이상)액티브 ETF 상장
- 삼성자산운용, 'KODEX TDF2050 액티브' 올해 100억 유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