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토스뱅크가 2023년 3분기 기준 가계 신용대출(무보증) 중 중저신용자(KCB 신용점수 기준 하위 50%) 고객의 잔액 비중은 34.46%로 1금융권 은행 선두를 유지하고 있다고 24일 밝혔다.
토스뱅크는 출범이후 2023년 3분기까지 만 2년 동안 건전한 중저신용자 16만 명에게 총 5조1600억원 규모의 대출을 공급했다.
최근 중저신용자 비중이 하락한 점에는 “신규 공급량 및 잔액의 꾸준한 증가에도 불구하고 KCB 기준 비중 수치가 전분기 대비 소폭 하락한 것은 중장기적 관점에서 중저신용자 포용의 지속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과정”이라며 “녹록지 않은 거시경제 상황에서 출범한 토스뱅크가 안정적으로 포용금융을 이어가기 위해선 건전성 관리에 우선순위를 둘 필요가 있다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중저신용자 포용 취지는 지켜가되 대출 자산 건전성 강화를 위해 KCB 뿐만 아니라 NICE 기준을 적극 활용, 실질소득과 상환능력이 검증된 ‘건전한’ 중저신용자에게 필요한 자금이 최대한 공급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러한 노력을 기반으로 2023년 3분기 토스뱅크 연체율은 1.18%로 전분기 (1.56%) 대비 감소, 외생 변수에 흔들리지 않고 포용금융을 지속할 수 있는 기초 체력을 마련했다.
지난해 크게 늘린 중저신용자 대출 물량의 상환 시기가 최근 집중적으로 도래한 것도 잔액 비중에도 영향을 미쳤다.
2022년부터 본격적으로 대출영업을 시작한 토스뱅크는 22년 2~3분기에 중저신용자 대출 공급을 크게 늘렸는데 당시 공급된 물량의 상환 시기가 1년이 지난 최근 집중된 것이다.
특히 중저신용자 상환 시기와 대출이동제 실행으로 인한 고신용자 유입 시기가 맞물리며 중저신용자 잔액 비중 관리에 난이도가 크게 상승한 특수성이 존재한다고 토스뱅크는 설명했다.
토스뱅크는 고금리 대출을 5.5% 저금리로 대환하는 '사장님 대환대출'과 신용회복 의지가 있는 중저신용자를 위한 '햇살론뱅크'를 인터넷전문은행 중 최초로 선보이는 등 제1금융권 은행 혜택에서 소외되어왔던 자영업자, 소상공인 및 서민을 위한 상생금융에 앞장서 온 만큼 한층 강화된 건전성과 신용평가모형을 기반으로 중저신용자의 포용의 범위를 계속 넓혀갈 계획이다.
또한 머신러닝‧딥러닝 등의 혁신 A.I기술과 독보적인 대안정보를 기반으로 자체 개발한 신용평가모형인 TSS(Toss Scoring System)의 고도화에 박차를 가해 포용금융의 경계를 지속 확장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토스뱅크 관계자는 “이제 만 2년이 된 신생은행으로서 지속가능한 포용금융의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이러한 노력을 바탕으로 건전성이 유의미하게 개선되는 등 성과를 보이고 있으므로 포용금융 확대를 위한 노력에도 더욱 박차를 가할 것” 이라고 말했다.
- 토스뱅크, 분기 흑자·중저신용자 포용 전부 잡나
- 중도 상환 수수료 없앤 토스뱅크, 16만 고객이 혜택 봤다
- 토스뱅크, 인터넷은행 최초 서비스 안전성 인증
- 토스뱅크 ‘목돈 굴리기’에 한화투자증권 ‘연금 모으기’ 개시
- 토스뱅크 ‘미라클 모닝 도전하기’ 100만 명이 함께 한다
- 토스뱅크 ‘햇살론뱅크’ 2.8만 고객에게 2천억 지원
- 김주현 "제2금융 고객 저금리, 대환 프로그램 추진"
- 토스뱅크, 롯데월드 입장권 50% 할인 혜택 제공
- 토스뱅크, 출범 2년 만에 86억 분기 흑자
- 토스뱅크, 겨울철 한파 앞둔 쪽방촌에 따스한 온기 전해
- 토스뱅크 ‘일하는 청소년 with Toss Bank’ 캠페인 론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