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가기록원은 해외 한글학교 학생들에게 한국의 우수한 기록문화를 소개하기 위한 ‘2023 우리 모두의 기록문화 프로그램’을 오는 25일부터 다음달 9일까지 운영한다고 24일 밝혔다.
2021년부터 매년 ‘우리 모두의 기록문화 프로그램’을 통해 해외 한글학교 학생들에게 우수한 기록관리 전통을 소개해온 국가기록원은 ‘한지’를 주제로 한국의 기록문화를 전파한다.
한지는 내구성이 뛰어나 천 년 이상 보존 가능한 기록 매체다. 훼손 기록물의 복원재료로 우수성을 인정받아 이탈리아에서도 문화재 복원에 한지를 사용하고 있다.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학생들은 한지를 주제로 우리나라 기록관리전문가와 함께하는 책읽기, 체험활동 등을 통해 한지의 제작 과정과 쓰임새, 한국의 우수한 기록관리 문화를 배우게 된다.
올해는 미국·뉴질랜드·인도·스위스·프랑스·폴란드·스페인·핀란드·캐나다 등 9개국 15개 한글학교가 선정돼 361명의 학생이 참여한다.
하병필 행정안전부 국가기록원장은 “대한민국은 유네스코에서 지정한 세계기록유산 18개를 보유한 기록강국으로 현재 아시아에서 가장 많은 세계기록유산을 보유하고 있다”며 “한국의 기록문화에 생소한 해외 한글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기록문화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기획하고 운영하여 한국의 우수한 기록문화를 전파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키워드
#국가기록원
관련기사
- 국가기록원, 주시경 ‘국어문법’ 육필원고 복제
- 日 반출됐던 국보 ‘원주 지광국사탑’, 112년 만에 귀향
- 국가기록원, 기록관리 유공 포상 후보자 공모
- 한국민속예술제의 60년 기록…민속예술 디지털 아카이브 공개
- 12편의 영화로 돌아보는 경제성장…국가기록원, 기획 전시
- 국가기록원, 모로코와 기록물 복원 분야 협력 추진
- 국가기록원, 한글점자·관련 기록물 복원·공개
- 국가기록원, 유네스코와 기록관리 분야 협력사업 추진
- 군산 선유도 해역서 청동기 간돌검 등 유물 180여점 발굴
- 한국문화재재단-SGC솔루션, K-문화상품 개발 위해 맞손
- 문화재청, 김장문화 유네스코 등재 10주년 체험 행사
- 세계 속의 아리랑, 국악·재즈·클래식으로 만난다
- 문화재청, '반구천의 암각화'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신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