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풀무원은 식품의약품안전처와 HACCP인증원 주최로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HACCP KOREA(해썹 코리아) 2023'에 참여했다고 23일 밝혔다.
이 자리에서 풀무원은 데이터 분산 처리 기술인 블록체인을 활용한 식품안전 및 소비자 신뢰 강화를 위한 디지털 플랫폼(Digital Trust Ecosystem, 이하 DTE) 구축을 제언했다.
해썹 코리아는 지난 2017년부터 식품안전 관리제도 발전과 해외 정보를 교류하기 위해 매년 열리는 국내 유일한 식품안전 행사다. 올해는 '스마트HACCP 전환에 따른 식품안전관리 미래 전략'을 주제로 준비됐다.
스마트HACCP은 식품 제조공장에 사물인터넷(IoT) 등의 기술을 활용해 식품안전 정보를 디지털화하고, 중요관리점 모니터링을 자동화하는 등 HACCP 관련 데이터 수집·관리·분석을 총망라한 디지털 기반 HACCP 종합 관리 시스템을 말한다.
행사 2부 정책포럼 세션에서 오승훈 풀무원 SCM기획실장은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Digital Trust Ecosystem 구축의 필요성'을 주제로 블록체인을 이용한 식품안전 정보관리, 식품안전 생태계 구축, 정보 소유권 문제 등 식품안전 정보의 공유와 회수에 대해 발표했다.
그동안 기업들은 일부 공급망에만 HACCP 체계를 도입하거나 내부 관리 기준을 마련하여 대응해 왔으나 급증하는 K-Food 수요에 발맞추어 글로벌 식품안전 규제에 대응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또 국내 식품 산업의 공급망 구조는 원물 가공처부터 최종 생산처까지 길게 분산되어 있어 개별 기업 간의 정보 습득과 관리에도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풀무원은 식품 공급망 내 다양한 산·관 관계자들이 참여하는 식품안전관리 디지털 플랫폼인 DTE를 구축하여 각종 규제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겠다는 전략이다.
블록체인 기반 DTE가 구축되면 원물 생산 농가에서부터 유통사에 이르는 복잡한 공급망 내의 참여자들이 식품안전 데이터를 위조·변조 불가한 형태로 보유할 수 있다.
더불어 이러한 생태계가 구축되면 영세한 업체들도 식품안전 정보 공유에 참여할 수 있는 공공 플랫폼이 만들어지기 때문에 그동안 공급사, 제조사, 물류사, 유통사 각각에 분산되어 있던 식품안전 정보의 빈틈을 메우고, 각 정보들이 연계되어 관리된다. 많은 식품 기업과 관련 조직이 생태계에 참여할수록 정보 연계의 효과는 더욱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오승훈 풀무원 SCM기획실장은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하면 생태계 참여자가 데이터를 분권화하여 소유하고 필요시 공유하거나 회수할 수 있으며 기록된 정보의 위·변조 가능성이 없어 신뢰성을 유지할 수 있다"며 "Smart HACCP 도입을 망설이는 기업들의 고민을 보완하고 식품안전 관리 범위를 확대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 인천공항 내 식음복합 사업 우선협상대상자에 파리크라상·롯데GRS·아워홈
- 한국으로 떠나는 비건 여행…‘K-비건 관광’ 알린다
- 기지개 켜는 'K-비건', 김밥·약과·만두로 지구촌 입맛 잡는다
- [Daily Pick유통] 더본코리아, 쿠팡, 국순당, SSG닷컴 外
- 풀무원푸드앤컬처, 부산세계탁구대회와 협업 행사 개시
- 이효율 풀무원 총괄CEO, '일회용품 제로 챌린지' 캠페인 동참
- 풀무원투게더, 장애인 표준 사업장 중 최초 '친환경 건축물' 인증
- 풀무원, 계열사 3분의1 여성 대표로…풀무원녹즙 김미경 신임 대표 선임
- 풀무원 올가홀푸드, 녹색특화매장 점포 확대…ESG 강화
- 이동훈 풀무원푸드앤컬처 대표, '일회용품 제로 챌린지' 동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