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AI 포럼 2023 포스터. 사진 = 삼성전자
삼성 AI 포럼 2023 포스터. 사진 = 삼성전자

삼성전자가 7일 인공지능(AI)·컴퓨터공학(CE) 분야 기술 교류를 위한 ‘삼성 AI 포럼 2023’(이하 포럼)을 개최했다.

포럼은 AI·CE 분야의 세계적 석학과 전문가들이 최신 연구 동향을 공유하고 미래 혁신 전략을 모색하는 기술 교류의 장이다. 경기도 수원시의 수원컨벤션센터에서 관련 분야 석학·전문가·학생 등 총 10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개최됐다.

이번 포럼 주제는 '더 나은 내일을 위한 초거대 AI'다. 포럼은 △요슈아 벤지오 캐나다 몬트리올 대학교 교수 온라인 기조강연 △짐 켈러 텐스토렌트 CEO 오프라인 기조강연 △삼성전자 SAIT(구 종합기술원, 이하 SAIT) 세부 세션 △우수 논문 포스터 발표 △AI·CE 분야 연구 과제 전시 △연구자 간 네트워킹 행사 등이 진행됐다.

요슈아 벤지오 교수는 AI 분야의 세계적 석학 중 한 명으로, '안전한 AI 연구자 시스템을 향해'를 주제로 온라인 기조강연에 나섰다. 벤지오 교수는 대규모 언어 모델(LLM)을 기반으로 발전하는 AI 기술의 결과가 연구자들의 개발 의도와 일치하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전한 AI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소개했다.

짐 켈러는 캐나다 AI 반도체 스타트업 기업인 텐스토렌트의 CEO로, 이날 '자신만의 실리콘을 소유하라'는 주제로 차세대 반도체 설계 혁신을 통한 AI 기술 한계 극복 방안을 제시했다. 짐 켈러는 개방형 하드웨어 설계자산(RISC-V·리스크 파이브) 기반 하드웨어 구조 설계 혁신을 통한 차세대 AI의 새로운 가능성을 강조했다.

SAIT의 세부 세션 주제는 △LLM과 산업용 AI의 변화 △LLM과 시뮬레이션을 위한 초거대 컴퓨팅이었다. 세부 세션은 세계적 석학·전문가 및 SAIT AI연구센터·시스템 연구센터의 연구 리더들이 진행했다.

SAIT 연구 리더들은 AI 분야의 반도체 개발 전반에 걸친 LLM 등 AI 활용 계획과 이를 통한 반도체의 미래 변화를 조망했다. CE 분야에서는 AI를 활용한 공정 시뮬레이션 등 미래 컴퓨팅 발전 가능성을 논의했다.

한편, 삼성전자는 오는 8일 서울 연구개발(R&D)캠퍼스에서 삼성리서치 주관으로 포럼 2일차 행사를 열어 생성형 AI 기술 발전 방향을 논의하고 관련 기술 동향을 공유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