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천국제공항공사는 인천공항 계류장 지역(항공기 지상이동 지역)에 친환경 지상조업차량 충전을 위한 공용 인프라 시설을 구축했다고 25일 밝혔다.
국내 공항 중 최초로 정식운영하는 충전 인프라는 전기 지상조업차량의 운영을 위한 필수 시설로서 앞으로 인천공항 내 친환경 전기 지상조업차량의 도입이 확대될 전망이다.
인천공항은 각 지상조업사에서 디젤 지상조업차량(수하물 운송 및 탑재 등 담당) 약 1000대를 운영하고 있다. 이 중 10년 이상 된 노후 차량이 50% 이상에 달해 공항 내 미세먼지 발생의 주요 원인으로 지적됐다. 인천공항에서 배출되는 미세먼지(PM10) 배출량의 약 36%를 차지한다.
앞서 공사는 지난 2020년 1월 국내 5대 지상조업사(한국공항㈜, 아시아나에어포트㈜, ㈜샤프에비에이션케이, 스위스포트코리아㈜, ㈜제이에이에스)와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노후화된 디젤 지상조업차량을 친환경 조업차량으로 단계적으로 전환해 오고있다. 공사의 목표는 오는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 제로(ZERO)를 달성하는 것이다.
업무협약을 바탕으로 공사는 지난 5월 공용 충전 인프라 16기를 선제적으로 구축했으며 시험 운영을 거쳐 이번에 정식 운영을 하게 됐다.
공사는 이번 정식 운영을 시작으로 2027년까지 공용 충전 인프라를 150기 이상으로 확대함으로써 각 지상조업사가 추진하고 있는 디젤 지상조업차량의 전기 조업차량으로의 전환을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인천공항의 온실가스 배출량이 저감되는 것은 물론 대기질 개선을 통해 공항 종사자들의 근로환경 개선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학재 인천국제공항공사 사장은 "이번 국내 공항 최초 친환경 조업차량 충전 인프라 운영 개시는 공사와 지상조업사 간의 협업을 통해 이룬 값진 성과라고 생각한다"며 "앞으로도 유관기관과 긴밀히 협업해 저탄소․친환경 공항운영을 선도해 나갈 계획이다"고 말했다.
- 인천공항공사, 을지연습 기간 중 '드론테러 대응훈련' 실시
- 인천공항공사, 공항 운영 완전 정상화 선포
- "출국까지 좋은 기억만 간직" 인천공항 잼버리 특별대책 시행
- 인천공항公, 태풍 '카눈' 대비 완벽대응체계 구축
- 인천공항공사, 세계 공항 최초 '항공기 지상이동 내비게이션' 개발
- 인천공항公, 인근 도서지역 학생 초청 '여름방학 캠프' 진행
- 이학재 인천공항공사 사장, ACI 아태지역 이사 선임
- 인천국제공항공사, 집중호우 수재민 위해 1억2000만원 기탁
- 인천공항 "하계 성수기 일평균 여객 17만명 이용 전망"
- 인천공항공사, 공항 상주직원 대상 '직무 스트레스 경감' 프로그램
- 인천국제공항공사, KT와 5G 특화망 기반 '미래 스마트 공항 공동연구' 협약
- 인천공항, DHL화물터미널 확장 "동북아 물류허브 공항 입지확보"
- 인천공항, 국제공항협의회(ACI) 공항탄소인증 '레벨4' 획득
- 인천국제공항공사, S&P 국제신용등급 상향 'BBB+'
- 인천공항 '면세점 가을 프로모션'
- 인천공항공사, 특수아동 체험학습 위해 '인천공항 동행버스' 출범
- 인천공항 내 식음복합 사업 우선협상대상자에 파리크라상·롯데GRS·아워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