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여연대를 비롯한 시민단체 관계자들이 22일 오후 서울 여의도 전국경제인연합회 앞에서 4대 그룹 전경련 재가입 규탄 및 전경련 해체 촉구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가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로 명칭을 바꾸고 쇄신하겠다고 포부를 밝혔으나 구체적인 실천방안이나 계획에 대한 진전은 없었다. 새로운 한경협 명칭도 이병철 삼성 창업주가 1961년 전경련 창립할 당시에 사용했던 초대 명칭인데다, 윤리위원회 구성 등도 확정하지 못한 상태다. 환골탈태 하겠다는 전경련 의지에 '물음표'가 붙는 대목이다. 

22일 오전 전경련은 서울 여의도 전경련회관에서 임시총회를 열어 명칭 변경 등 안건을 의결했다. 

한경협은 1961년 전경련 출범 당시 사용한 초대 명칭이다. 조직 규모가 확대되면서 1968년 전국경제인연합회로 이름을 바꿔 현재까지 사용했다. 전경련은 한경협 명칭을 "초심으로 돌아가겠다는 취지로 이름을 바꾼다"고 설명했다.

명칭 변경 외에도 △산하 연구기관인 한국경제연구원(한경연)의 흡수 통합 △정경유착 등 외압을 차단하기 위한 윤리위원회 설치 등을 포함한 정관 변경안 의결도 진행됐다.

이어 사무국과 회원사가 준수해야 할 윤리헌장이 채택됐다. 헌장은 △정치·행정권력 등 부당한 압력을 단호히 배격 △자유민주주의·시장경제 확산에 진력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대·중소기업 상생 선도 △혁신 주도 경제 및 일자리 창출 선도 등 내용으로 구성됐다.

그러나 윤리위원회 구성과 세부 운영사항 등은 추후 확정할 계획이라고 유보하면서 여전히 실질적인 개선 의지는 찾아볼 수 없다는 비판이 나온다.

참여연대 관계자는 "지난 5월 내놓은 쇄신안에서 나아진 게 없다"며 "새 술은 새 부대에 담아야하는데 이름만 바꿔선 새 부대가 맞는지 알 수가 없다"고 말했다.

이어 "이번 총회가 명칭을 새로 바꾸는 자리인 만큼, 밑그림이 아니라 더욱 구체적인 청사진을 제시했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구체적인 쇄신 계획이 연기되면서 재가입 결정을 유보 중인 4대 그룹의 '눈치전'은 더욱 치열해질 전망이다. 복귀 명분으로는 부족하다는 이야기도 나오는 까닭이다.

한경연 통합 결정에 따라 한경협으로 소속이 자동 승계되는 4대 그룹 계열사로는 삼성 5곳(삼전자·삼성SDI·삼성생명·삼성화재·삼성증권), SK 4곳(SK㈜, SK이노베이션·SK텔레콤·SK네트웍스), 현대차 5곳(현대차·기아·현대건설·현대모비스·현대제철), LG 2곳(㈜LG·LG전자) 등이다.  

이 가운데 삼성전자·삼성SDI·삼성생명·삼성화재 등 4개사는 준법감시위원회의 조건부 승인 권고에 따라 복귀를 결정했으며 삼성증권은 재가입을 거부했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