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투자증권은 '로봇 프로세스 자동화(RPA)' 도입으로 업무시간 절감 효과가 연 10만 시간을 넘어섰다고 21일 밝혔다.
RPA는 PC에서 처리되는 단순반복 업무를 로봇이 대신하도록 설계·구현하는 작업이다. 한국투자증권은 지난 2019년 디지털전환을 본격화하며 RPA를 도입한 후 올해 8월까지 총 261개 업무를 자동화했다.
RPA 도입으로 직원들이 절감한 시간을 연 단위로 환산하면 10만9000시간에 달한다. 업무 처리 속도도 뛰어나 기존에는 연간 100시간 이상 소요됐던 업무가 시스템 도입 후에는 15시간만에 완료할 수 있게 됐다.
또한 단순반복 업무 자동화를 통해 직원들이 고부가가치 업무에 더욱 집중할 수 있게 돼 생산성이 증대되고 직원 만족도도 향상되는 효과도 있었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한국투자증권은 단순 자료 취합부터 데이터 입력 및 검증 등 다양한 분야에서 RPA를 활용 중이다. 거래 기관에 해외증권 체결 및 결제 기준 잔고 전달, 장외파생상품 거래 신청시 사전교육 이수여부 확인 후 승인 등 올해만 84개의 업무에 RPA를 신규 적용했다.
한국투자증권은 향후 지속적인 업무 발굴 및 시스템 고도화를 통해 RPA 적용 범위를 계속 넓혀간다는 방침이다.
최영목 디지털본부장은 "업무 전반에 RPA를 적용하며 업무 효율을 높이는 한편, 절감된 시간을 보다 창의적이고 생산성 있는 업무에 할애하는 것이 궁극적인 목적"이라며 "단순히 기존 업무를 전산화하는데 그치지 않고 관련 기술을 적극 활용해 업무 프로세스를 개선하고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 체계를 도입하는 등 디지털전환에 집중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증권사 실적, 충당금이 갈랐다…삼성증권 '휘파람'
- 한국투자증권, 사모펀드 직접 운용한다
- 한국투자증권, GWM 패밀리오피스 정기 만찬 개최
- 한국투자증권, 최고 연 46% 추구…ELS·ELB 25종 모집
- 한국투자증권, 글로벌 'KGIC 2023' 국내 개최…"시너지 창출 첫걸음"
- 한국투자증권, 해외기업 공시 번역 서비스 제공
- 한국투자증권, 토큰증권 분산원장 인프라 구축 완료
- 한국투자밸류자산운용, 손익차등형 '한국밸류K-파워펀드' 출시
- 한국투자증권, 알스퀘어와 초고액자산가 부동산 투자자문 업무협약
- 한국투자증권-서울거래, 토큰증권 생태계 확장 위한 업무협약
- '최고 47% 수익률' 한국투자증권, ELS·ELB 23종 출시
- 한국투자증권, 베트남 현지 초등학교에 도서관 지원사업
- 한국투자증권, 기업 대상 퇴직연금 운용전략 세미나 개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