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성액티브자산운용이 자사 액티브 ETF 브랜드 'KoAct'를 출시했다. 국내 최초 바이오헬스케어 상품 출시를 시작으로 고령화, 기후위기, 기술 발전 관련 테마 상품을 선보일 예정이다.
3일 삼성자산운용은 액티브 브랜드 'KoAct' 출시를 기념해 기자간담회를 개최했다. 독자 브랜드 'KoAct(코액트)'는 'Korea Active ETF'를 축약한 명칭으로 대한민국 대표 액티브 ETF 브랜드로 성장하겠다는 의미를 담았다.
삼성액티브자산운용은 '세상의 변화에 투자한다'는 철학을 바탕으로 가치투자에 집중온 만큼 독자 액티브 ETF 출시를 계기로 지금껏 쌓아온 노하우와 운용 역량을 결집해 다양한 액티브 ETF 상품과 최상의 포트폴리오를 선보임으로써 고객 자산 증대에 기여하겠다는 포부를 나타냈다.
KoAct의 A.C.T.에는 회사가 생각하는 미래의 중요한 변화, 즉 고령화 사회(Aging Society), 기후 위기(Climate Crisis), 기술 변화(Technology)에 발맞춰 이러한 흐름에 꼭 필요한 ETF를 만들어 투자자에게 제공하겠다는 계획을 담았다.
2023년 6월말 기준 미국 ETF 시장 규모는 약 9600조원(7.34조 달러)으로 이 중 액티브 ETF의 비중은 5.7%, 540조 규모다. 2022년 이후 신규 상장된 ETF 622개 중 액티브 ETF 비중은 65.8%인 409개로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글로벌 ETF 시장도 비슷한 상황이다. 글로벌 ETF 시장 규모는 약 1.3경원(9.97조 달러)인데 이 중 액티브 ETF는 723조원으로 5.6%의 비중이다. 지난해 이후 신규 상장된 1275개 ETF 중 액티브 ETF는 모두 740개로 58% 비중에 달하고 있다.
이에 비해 한국 ETF 시장에서는 액티브 ETF 시장 규모가 아직 낮은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전체 ETF 시장 규모는 첫 상품 출시 이후 21년만에 100조원으로 성장했지만 주식형 액티브 ETF 시장 규모는 2% 수준으로 약 2조원에 그쳤으나 향후 한국 ETF 시장도 글로벌 트렌드에 동조하며 액티브 ETF의 상장 개수와 규모가 빠른 속도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시장 전문가들은 국내 전체 ETF 시장 규모가 2030년에는 300조원 규모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삼성액티브자산운용도 미국을 포함한 글로벌 ETF 시장의 성장세를 고려하면 주식형 액티브 ETF의 시장 비중이 2030년까지는 10% 수준, 즉 30조원 규모로 급격히 늘어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삼성액티브자산운용은 이러한 시장 흐름 속에서 KoAct ETF 출시를 통해 액티브 ETF 시장 활성화에 적극 기여한다는 계획이다. 액티브 ETF 시장의 활성화는 전체 ETF 상품 경쟁력을 더욱 제고시킬 뿐 아니라 ETF 시장 전반이 동반 성장할 수 있는 선순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민수아 삼성액티브자산운용 대표는 "삼성액티브자산운용은 KoAct ETF 출시를 계기로 더욱 치열하게 고민하고 적극적인 투자를 실행해 고객 자산이 세상의 변화와 함께 성장하는데 일조해 나갈 것"이라며 "이러한 과정을 통해 국내 액티브 ETF 시장이 글로벌 수준으로 성장하는데 앞장설 것"이라고 밝혔다.
삼성액티브자산운용의 첫 액티브 ETF 상품은 'KoAct 바이오헬스케어 액티브'다. 국내 최초의 바이오헬스케어 액티브 ETF로 AI시대 기술융합을 통해 고성장이 기대되는 바이오헬스케어 기업에 선별적으로 투자한다. 이 상품은 iSelect 바이오헬스케어 PR지수 기반 삼성액티브자산운용 리서치가 엄선한 종목으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할 예정이다.
첫 상품으로 바이오헬스케어 액티브 ETF를 출시하는 이유는 바이오와 헬스케어 섹터의 높은 성장성 때문이다. 2023년 글로벌 헬스케어 시장은 약 2370조원 규모로 급속히 성장 중이며 차세대 기술을 적용한 항암제, 알츠하이머 및 비만 치료제, 미용 의료기기 등이 전도 유망한 분야로 주목되고 있다. 특히 국내 기업은 AI 및 디지털과 융합된 바이오헬스케어 산업에서 글로벌 경쟁력을 갖고 있다는 판단이다.
서범진 삼성액티브자산운용 전략솔루션총괄은 "고령화 사회 진입에 따른 헬스케어 산업 성장의 수혜와 더불어 고점에 다다른 금리 상황, 유동성이 증가하는 국면에서 코로나19 이후 침체돼 있던 바이오헬스케어 업황이 개선될 것으로 예상한다"며 "KoAct 바이오헬스케어 액티브 ETF는 글로벌 경쟁력을 가진 국내 바이오헬스케어 기업을 선별해 투자하는 ETF로 투자자가 분산투자 목적으로 선택하는 것을 추천한다고 전했다.
- 케이카, 2Q 영업익 155억원 '전년比 35.6%↑'…채널 다변화·이커머스 확대
- 상반기 평균 연회비 8만3453원…전년 대비 119% 증가
- 현대차그룹, 텐스토렌트에 5000만달러 전략 투자…'맞춤형 반도체 확보'
- 김대웅 대표 3연임 와중에 웰컴저축은행 '접대비' 수직 상승
- 김기환 KB손해보험 대표, 실적·소비자보호 다잡았다
- KODEX반도체, 순자산 5000억 첫 돌파
- 삼성액티브 ‘KoAct 바이오헬스케어 액티브’ 3일만에 287억 팔렸다
- KODEX K-로봇 액티브 ETF, 순자산 1000억 돌파
- KoAct 바이오헬스케어액티브, 일주일 만에 수익률 11.1%
- KODEX CD금리 액티브 ETF, 순자산 1조 돌파
- 삼성액티브자산운용, KoAct 바이오헬스케어액티브 순자산 1000억원 돌파
- 삼성자산운용 PB “2차전지 다음 테마 ‘이것’”
- 삼성액티브자산운용, KOACT 글로벌 AI&로봇 액티브 ETF 상장
- 삼성액티브자산운용 "엔비디아 중국향 매출 타격 단기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