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뱅크가 상생금융에 팔을 걷어 붙인다. 주담대 이자 절감은 물론 대출 중도상환해약금 면제를 올해 말까지 진행한다.
카카오뱅크가 주택담보대출 고객 대상 약 4개월 간 252억원의 연간 이자를 절감하는 등 상생금융을 실천했다고 3일 밝혔다.
카카오뱅크는 지난 2월 22일부터 6월 30일까지 주택담보대출 '금리 할인' 혜택을 도입한 결과 고객들의 연간 이자 부담을 약 252억원 규모 줄인 것으로 나타났다.
앞서 카카오뱅크는 지난 2월 금리 할인 혜택을 신설한 데 이어 4월 연립·다세대 확대를 기념해 특판을 진행하며 업계 최저 수준의 금리를 제공해 왔다.
은행연합회 공시에 따르면 카카오뱅크가 지난 5월 취급한 분할상환방식 주택담보대출 평균 금리는 연 3.88%로 16개 은행 중 유일하게 3%대 금리를 유지했다.
경쟁력 있는 금리를 제공함에 따라 카카오뱅크 주택담보대출로 대환을 선택한 고객도 눈에 띄게 늘어났다.
전체 주택담보대출 신규 고객 중 대환 고객 비중도 금리 할인 혜택이 실시된 이후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다. 대환 고객 비중은 작년 4분기만 하더라도 28%였으나 올해 2분기에는 약 54%로 두 배 수준으로 크게 증가했다.
다수 고객 역시 카카오뱅크 대환을 선택한 주 요인으로 '금융비용 절감'을 꼽았다. 카카오뱅크가 대환 고객 약 600여 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중복 선택 가능) 결과에 따르면 설문에 응답한 고객 중 약 90%는 카카오뱅크를 선택한 이유로 '금리가 저렴하다'라는 보기를 선택했다.
실제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카카오뱅크 주택담보대출로 갈아탄 고객은 연 평균 약 321만원의 이자를 절감할 수 있었다. 카카오뱅크 평균 실행금리는 연 3.8%로 기존 대출의 평균 금리(연 5.1%) 대비 평균적으로 1.3%p 낮아졌다.
카카오뱅크 대환을 통해 연 이자를 최대 1600만원이나 아낀 고객도 있었다. 기존 연 6.1%의 금리를 적용받던 해당 고객은 카카오뱅크 대환을 통해 2.39%p 낮춘 연 3.71%의 금리를 적용받을 수 있었다.
설문조사를 추가로 살펴보면, 응답고객 중 약 77%는 '중도상환해약금이 없다'는 선택지를 고르는 등 금융비용이 낮아진 부분에 대해 손을 들어줬다.
아울러 응답자의 절반 이상은 카카오뱅크 대환을 선택한 이유로 '은행 방문없이 비대면 신청이 가능하다', '앱을 통한 서류 제출이 편리하다', '대출 한도와 금리 조회가 빠르다' 등 비대면 대출의 편의성을 골랐다. 특히 직장인이나 아이 엄마 등 상대적으로 시간이 부족한 상황에 있는 고객이 비대면 대출 편의성에 높은 점수를 주기도 했다.
카카오뱅크 주택담보대출은 대화형 인터페이스로 구성된 챗봇 기능을 통해 100% 비대면으로 서류 제출부터 대출 심사, 실행까지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구현했으며 카카오뱅크를 통한 대출한도·금리 조회까지 소요되는 시간은 평균 3분 29초다.
주목할 만한 점은 금융접근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수도권·광역시 이외의 기타지방 고객 금리가 낮아지는 등 포용금융에도 기여했다는 점이다.
은행 영업점이 비교적 적은 기타지방 고객 중 대환대출을 통해 가장 크게 금리를 낮춘 고객은 2.415%p 낮은 금리를 적용받으며 연 약 480만원의 이자를 아낀 것으로 나타났다. 기타지방 고객이 대환대출을 통해 평균적으로 감면받은 금리는 1.38%p로 수도권·광역시 고객 평균 금리 감면 폭보다 높았다.
기존 대출을 1년 미만으로 보유한 탓에 중도상환해약금 부담이 있어 대환 유인이 크지 않던 고객이 카카오뱅크를 선택했다는 점도 눈여겨볼 부분이다.
기존 대출 대비 상대적으로 낮은 금리를 적용받으면서 중도상환해약금을 감수하더라도 비용 절감 효과를 더 크게 볼 수 있었기 때문이다. 실제로 지난 6월까지 중도상환해약금 면제를 통해 고객이 절감한 비용은 63억원에 달한다.
실제 기존 대출을 1년 미만 보유 고객 사례에 따르면 해당 고객은 카카오뱅크를 통해 대출금리는 0.25%p 낮아지고 대출한도는 절반 이상 늘어나는 조건으로 대출을 받았다. 해당 고객은 60만원 수준의 중도상환해약금을 부담했으나 향후 당행 대출을 1년 4개월 이상 유지한다면 중도상환해약금보다 이자비용 절감액이 크다.
대환 고객의 기존 대출기관은 시중은행과 제2금융권, 상호금융권, 대부업 등으로 다양했다. 지난 2월 22일 이후 6월 말까지 대환 고객의 평균 연령은 43세로 비대면에 친숙하지 않은 50~60대 비중도 약 20% 수준에 달했다.
변동금리와 혼합금리 중 혼합금리를 선택했다고 응답한 고객 비중은 80%로 금리인상기 금융비용 부담 급증을 경험하며 혼합금리를 택한 경우가 많았다.
카카오뱅크는 고객 호응에 보답하는 한편 사회적 책임을 다하기 위해 중도상환해약금 면제를 연말까지 연장하는 등 포용금융 노력을 지속하기로 했다.
카카오뱅크 관계자는 "당행의 주택담보대출을 선택한 고객에게 평균 금융비용 절감이라는 혜택을 돌려주는 등 상생금융을 실현할 수 있었다"며 "앞으로 출시 예정인 보금자리론과 분양잔금대출 등에서도 실질적인 혜택을 체감하실 수 있도록 상품을 준비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 카카오뱅크, 두 번째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발간
- 카뱅, 다자녀 국가유공자 가정에 3억원 기부
- 세금·공과금, 카뱅에서 편하게 납부한다
- 카뱅, 모란시장 소상공인에 '고객친화적 계좌번호 안내판' 전달
- 카뱅, 필요한 기능만 담은 ‘간편 홈’ 서비스 출시
- 카뱅 ‘개인사업자 보증서 대출’, 1달 만에500억 돌파
- 카뱅, 청소년 고객 위한 5번째 제휴 저금 'GS25와 26일저금' 출시
- 카카오뱅크, 국내 최대 규모 기술행사 ‘KWDC2023' 후원
- 6월 코픽스, 3.70%…전월 대비 0.14%p ↑
- 카뱅, SGI 전월세보증금 대출 출시...한도 최대 5억
- 카뱅, 국제 학회서 안면인식·무자각인증 등 금융기술 우수성 인정
- 금융당국 이번엔 '주담대' 정조준…난감해진 인뱅
- '주담대 장사' 오명에 카카오·케이뱅크 속앓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