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출 전문 핀테크 기업 핀다가 페퍼저축은행과 ‘전자금융범죄 차단을 위한 FDS 협력 전략적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8일 밝혔다.
FDS(Fraud Detection System, 이상금융거래탐지시스템)는 금융사기 유형에 들어맞는 의심 거래를 잡아내 금융 거래를 정지하는 시스템이다. FDS는 고객의 금융정보가 사기조직에 넘어가더라도 플랫폼이나 금융기관에서 사전에 이상 거래를 감지해 거래를 막기 때문에 금융사기 피해를 막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번 협약에서 두 기업은 △전자금융범죄 또는 이상금융거래 감지 시 상호 데이터 교환 △전자금융범죄 적발과 차단을 위한 핀다 AI 알고리즘 고도화 및 사전 적용 위한 업무 절차 구축 △기타 전자금융범죄를 차단하기 위한 상호 협력을 진행하기로 협의했다.
이혜민 핀다 공동대표는 "이번 협약은 갈수록 지능화되고 있는 전자금융범죄를 원천 차단하기 위해 각사가 디지털상에서 보다 적합한 금융 보안 시스템을 구축해 금융소비자를 보호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며 “핀다의 기술력이 집약된 FDS를 고도화해 앞으로 더 많은 금융기관과의 협력 관계를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한편 핀다는 지난해부터 급증한 비대면 금융 사기 예방을 위해 악성 앱·스크린 미러링과 같은 첨단 기술을 활용한 범죄 등 기술적 예방이 가능한 여섯 가지 유형을 정리하고 원천 차단에 나서고 있다.
핀다는 지난해 11월부터 핀다 앱을 켜기만 하면 기기에 설치된 원격 제어 앱과 위∙변조 앱 등 악성 앱을 삭제할 수 있는 솔루션을 탑재해 월 평균 1200건 이상의 악성앱을 탐지해 삭제를 권하고 있다.
여기에 본인이 실제로 가지고 있는 휴대전화로만 핀다 앱을 이용할 수 있는 MO(Message Oriented)인증을 도입해 유심 도용으로 인한 피싱 범죄도 완벽하게 예방하고 있다.
또한 핀다는 보안, CX, 개발, 인프라 팀을 주축으로 보이스피싱 방지를 위한 관제 대시보드를 운영하며 관련 문의에 적극 대응하고 있다. 보이스피싱에 악용되는 악성앱과 원격앱 차단현황을 관리하고 기기변경·IP·통신사·전화번호 및 인증 정보 분석에 따른 이상패턴을 감시해 문제가 있을 경우 즉각 IP를 차단해 사고를 방지하는 시스템이다.
- 핀다, 청년 목돈 마련 돕는 ‘청년도약계좌 계산기’ 출시
- 요즘 핫플? ‘사진관’ 찾으세요
- 대환대출 플랫폼 D-1, 플랫폼별 강점은
- 핀다 “대출 갈아타기 출시…시장 선도할 것”
- 핀다, 게임 요소 더한 '대환 챌린지' 오픈
- 핀다, 470억 규모 시리즈C 투자 유치
- 상반기, 카페가 제일 많이 늘었다…핀다, 자영업 창업 보고서 공개
- “사업자 대출부터 신용점수 관리까지” 핀다, 개인사업자 신용관리 서비스 출시
- 핀다, 오직 핀다에서만 대출 승인된 사용자 패턴 분석
- 런치플레이션에 ‘버거’ 뜬다…핀다, 상반기 배달 보고서 공개
- 페퍼저축은행, 3분기 당기순손실 248억원…'적자전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