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화체육관광부(이하 문체부)가 한국콘텐츠진흥원과 함께 국내 OTT 콘텐츠의 유통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40억원 규모의 ‘국내 OTT 라이브러리 강화 후반작업 지원사업’을 시작한다.
문체부 전병극 제1차관은 4일 티빙(TVING), 웨이브(Wavve), 왓챠, 유플러스(U+)모바일 등 국내 OTT 4개사 관계자와 만나 현장 목소리를 듣고 업무 협약식에 참석한다.
‘국내 OTT 라이브러리 강화 지원사업’은 소비자가 국내 OTT를 더욱 많이 이용할 수 있도록 국내 OTT의 콘텐츠 보유량을 늘리고, 화질·음향 등 서비스 품질을 강화하는 사업이다. 4월부터 티빙(TVING), 웨이브(Wavve), 왓챠, 유플러스(U+)모바일 OTT 4개사를 대상으로 40억원을 본격적으로 지원해 유통 경쟁력을 강화하고, 장기적으로는 국산 콘텐츠의 지속 가능한 유통망을 확보할 계획이다.
지원사업의 주요 내용으로는, 기존 콘텐츠의 화질·음향 개선 등 리마스터링 제작 지원과 OTT 콘텐츠 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소비자 서비스를 향상하는 메타데이터 운영 지원, 장애인 시청복지 향상을 위한 청각장애인용 자막 제작 지원이다.
드라마 ‘응답하라’ 시리즈, ‘도깨비’, ‘시그널’과 같은 인기 명작 300편 이상을 고화질(4K)로 업로드하고, ‘슈룹’, ‘미스터 션샤인’ 등 45편 이상의 신작에 청각 장애인 대상 자막을 제공한다. 콘텐츠 64만여편을 소개하는 메타데이터도 운영한다.
이와 더불어, 문체부는 이번 국내 OTT 지원사업 외에도 제작사를 대상으로 한 ‘방송영상콘텐츠 후반작업 지원’에 250억원, 시각장애인을 위한 ‘화면해설방송 제작지원’에도 10억원을 투입해 올해 총 300억원의 신규 예산을 지원한다.
전병극 차관은 “문체부는 올해 OTT를 비롯한 방송영상콘텐츠산업 지원 예산을 1235억원 규모로 지난해보다 2.5배 확대하는 등 공세적인 지원을 이어가고 있다. 이러한 지원을 통해 다양한 국산 K-콘텐츠 보급이 확대되고 국내 OTT 업계가 세계에 진출할 수 있기를 바란다. 앞으로도 K-콘텐츠의 매력을 전 세계로 확산하기 위해 국내 업계의 성장과 발전을 적극적으로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 생활 지원 정책 한눈에…문체부, ‘K-희망사다리’ 발간
- 문체부, ‘검정고무신’ 사건 예술인권리보장법 위반여부 조사
- 문체부, 장애예술인 창작물 ‘3% 우선구매 제도’ 시행
- 문체부·관광공사, K-컬처 기반 새 국제회의 모델 발굴
- K-팝 재도약 위한 방안은?…문체부, 현장 목소리 듣는다
- 문체부·관광공사, 홍콩서 ‘K-관광 로드쇼’ 개최
- ‘15분 문화 슬세권’ 1만 곳 조성…문화로 지역소멸 막는다
- 문체부, ‘출연료 미지급’ 뮤지컬 제작사에 첫 시정명령
- ‘미스터 션샤인’ 황기환 지사 유해 고국 품으로…10일 봉환
- K-콘텐츠 저변 확대한다…12개국 주한 상무관 협의체 발족
- 문체부, 예능 ‘최강체대’ 등 OTT 27편 제작 지원
- ‘툰드라’·‘공생의 법칙’ 등 뉴욕 TV&필름 페스티벌 수상
- ‘가짜뉴스 OUT’…문체부 “AI 활용 시스템 개발”
- ‘몸값’, 칸 시리즈 각본상…韓 드라마 최초
- 제2의 이승기 사태 막는다…“엔터사 회계 의무 공개”
- SBS 문화재단, 드라마 극본공모 당선작 9편 선정
- 서울드라마어워즈, 44개국 344편 출품…‘더 글로리’·‘우영우’ 재격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