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성전자가 반도체 전문 인재 양성에 나선다.
27일 삼성전자는 체계적인 반도체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해 울산·대구·광주 등 3개 과학기술원과 반도체 계약학과를 신설하기로 협약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삼성전자와 울산과기원(UNIST), 대구과기원(DGIST), 광주과기원(GIST) 등 과학기술원 세 곳은 올해 하반기부터 신입생을 선발해 내년 3월부터 계약학과를 운영한다.
선발 인원은 UNIST 40명, DGIST 30명, GIST 30명 등 연간 100명이다. 삼성전자와 세 학교는 5년간 반도체 인재 총 500명을 양성할 계획이다.
울산·대구·광주 과학기술원에 신설되는 반도체 계약학과는 학사·석사 교육을 통합한 최초의 '학·석 통합 반도체 계약학과' 과정으로 운영된다. 교육 기간은 총 5년이다.
반도체 미세화 한계 돌파를 위한 반도체 공정 기술의 중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이번에 신설되는 반도체 교육 과정은 반도체 공정 제어 기술을 중심으로 구성했다.
학생들은 반도체 클린룸 실습 등 현장 중심 교육을 받게 된다. 반도체 설계와 S/W 등 창의성을 높일 수 있는 융합 수업도 병행한다.
공정 전문가를 육성하는 계약학과 3곳이 이번에 신설됨으로써 계약학과를 통해 △설계 △소프트웨어(S/W)△공정 등 반도체 핵심 분야의 인재를 골고루 양성해 내는 체계가 구축됐다.
이재용 회장은 "지역 사회와 함께 성장해야 한다"며 "어렵고 힘들 때일수록 더 과감하고 더 적극적으로 미래를 준비하자"고 말했다.
삼성전자와 GIST, DGIST, UNIST는 이날 회사와 학교 관계자 및 해당 지역자치단체장과 국회의원 등 내외빈이 참석한 가운데 광주, 대구, 울산에서 각각 반도체 계약학과 신설 협약식을 가졌다.
삼성전자는 급증하는 반도체 인력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지난 2006년 성균관대를 시작으로 연세대(2021년), KAIST(2022년), 포항공대(2023년)와 반도체 계약학과를 운영해 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