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 마곡 LG이노텍 본사 대강당서 열린 '제47기 정기주주총회'에서 정철동 사장이 인사말을 하고 있다. 사진=LG이노텍
23일 마곡 LG이노텍 본사 대강당서 열린 '제47기 정기주주총회'에서 정철동 사장이 인사말을 하고 있다. 사진=LG이노텍

LG이노텍이 23일 마곡 LG사이언스파크에 위치한 본사 대강당에서 제47기 정기주주총회를 개최했다.  

주주총회에서는 제47기 재무제표 승인 건과 이사 선임 건을 포함한 총 5개 안건이 원안대로 의결됐다.

주총 의장을 맡은 정철동 사장은 인사말에서 "지난해는 미중 무역 갈등, 우크라이나 전쟁, 팬데믹 장기화 등으로 어려운 경영 환경이었다"며 "그럼에도 협력사를 포함한 많은 분들의 노력으로 사상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고 말했다.

LG이노텍은 사업가치 제고를 위해 차별화된 기술력과 품질 경쟁력을 바탕으로 질적성장을 이어 간다는 전략이다. 

정 사장은 "광학솔루션 사업은 핵심부품사업 내재화 및 디지털 전환(DX) 가속화를 통한 생산성 극대화에 힘쓰겠다"며 기판소재사업은 “조기 양산에 성공한 FC-BGA를 빠르게 글로벌 일등 사업으로 키울 것"도 강조했다. 차량카메라, 라이다, 파워 모듈 등 전기차 및 자율주행 부품사업 육성도 덧붙였다.

정 사장은 사업가치 제고를 통한 경영성과를 주주에게 적극 환원한다는 방침이다. LG이노텍은 3개년 배당정책에 따라 2022년 주당 배당금을 전년대비 1150원 더 많은 4150원을 지급하는 등 주주가치를 지속적으로 높여 가고 있다. 

또한 정 사장은 "ESG경영도 내실 있게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LG이노텍은 지난해 '2040년 탄소중립 선언' 및 'RE100 이니셔티브 가입'을 완료했으며, 대표이사와 이사회 의장을 분리해 이사회 중심의 책임경영을 한층 강화했다. 

이날 LG이노텍은 사외이사에 노상도 성균관대학교 시스템경영공학과 교수와 박래수 숙명여자대학교 경영학부 교수를 신규 선임했다.

노 교수는 한국CDE학회 회장과 대한산업공학회 부회장으로 스마트 팩토리 및 디지털 트윈 분야 전문가로 알려져 있다. 박 교수 역시 재무관리 및 정책금융 분야 전문성을 바탕으로 한국재무학회 회장 등을 역임한 재무 전문가다.  

키워드
#LG이노텍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