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우건설은 ‘영상기반 구조물 변위계측시스템’을 개발해 저작권 등록까지 완료하며 안전 시공을 위한 기술 개발에 성공했다고 2일 밝혔다.
대우건설에 따르면 영상기반 구조물 변위계측시스템은 다양한 분야에 활용이 가능하다. 교량의 처짐과 진동 계측이 가능하고 토사의 붕괴를 방지하는 구조물인 흙막이벽과 옹벽 등의 거동이력을 추적감시 할 수 있다. 특히 접근이 어려운 고지대를 비롯 변위계를 설치할 수 없는 계곡이나 바다 등에서도 계측이 가능해 작업자가 위험에 노출되지 않고 처짐과 변형을 파악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접근이 어려운 위치는 영상 내에서 특정 포인트를 지정하는 방식으로 타깃 부착 없이도 계측이 가능하도록 설계했다. 또한 고층건물의 안정성 평가를 위한 동특성 계측 시 장시간, 고비용이 소요되는 가속도 계측을 지상에서 간단한 촬영으로 대체할 수 있다.
이번에 개발한 시스템은 스테레오 방식의 영상 분석을 통해 대상구조물의 거동이력을 측정한다. 대우건설 기술연구원 풍동실험실에는 영상기반 구조물 변위계측 시스템이 설치돼 있는데, 이 시스템으로 정밀한 풍동실험을 진행할 수 있어 구조물의 거동을 확인하고 합리적인 풍하중 풍하중을 산정할 수 있다.
또 모형에 근접해 센서를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기류의 교란을 근본적으로 방지해 보다 정밀한 실험을 수행할 수 있다. 최근 강화된 설계기준에서 요구하는 공기력 진동실험을 위해서도 꼭 필요한 기술이라 할 수 있다.
대우건설 관계자는 “이번에 개발한 시스템은 구조물 붕괴 위험을 사전 감지해 안전하게 시공할 수 있게 하는 기술로 추후 대우건설이 참여하는 건설현장에 도입해 말뚝 관입량 계측, 동바리(비계), 흙막이 계측 등에 활용할 계획”이라며 “대우건설은 스마트건설 선두 주자로서 다양한 산업재산권을 보유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건설산업 발전에 기여하는 기술 개발에 매진하겠다”고 말했다.
- ‘올림픽파크 포레온’ 12월 견본주택 개관
- 대우건설, 케냐 대통령 예방...인프라 개발사업 논의
- 재계와 ‘네옴시티’ 협업한 빈 살만, ‘부산엑스포’ 유치엔 경쟁자
- 대우건설, 대학생 홍보대사 19기 성황리에 활동 마쳐
- 대우건설·서울시·한국해비타트, 취약층 주거환경개선 협약 체결
- 대우건설, ‘한남2구역 주택재개발사업’ 시공사 선정
- 대우건설, 길동 삼익파크 재건축 시공사 선정…도시정비사업 ‘5조 클럽’ 달성
- 대우건설-중흥그룹 만남 1년, 도시정비·해외수주 ‘날개’
- 대우건설, ‘진주혁신도시 푸르지오 퍼스트시티’ 견본전시관 개관
- 대우건설-서울시, 주거환경개선사업 봉사활동 첫 발
- 대우건설, 국내 최초 ‘저탄소 친환경 콘크리트’ 도입
- 대우건설, 수도방위사령부에 기부금 전달
- 대우건설, 나이지리아에 지역 건설인재 양성에 앞장
- 대우건설, 지난해 영업이익 7600억원…창사이래 ‘최대’
- 대우건설, 장애인 복지시설 ‘새롬의 집’서 2023년 릴레이 봉사활동 실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