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동아제약 
사진=동아제약 

세균과 바이러스 증식이 활발한 여름 장마철이면  배탈의 위험이 커지는 시기다. 연이은 빗줄기로 높은 습도·기온이 이어지는 요즘 같은 때는 배탈의 위험이 커진다. 민감해진 장 컨디션을 끌어올리는 방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이맘쯤이면 프로바이오틱스를 장바구니에 담는 사람들이 많아진다. 하지만 여름철 장트러블 극복템으로 프로바이오틱스를 아무거나 고르면 낭패를 볼 수 있다.  

프로바이오틱스를 고르다 보면 자주 보게 되는 용어가 ‘신바이오틱스(SYN biotics)’이다. 프로바이오틱스는 장내 서식하며 유익균을 증식하고, 유해균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신바이오틱스는 유익균의 먹이인 ‘프리바이오틱스’를 함께 담아 무사히 장까지 닿을 수 있도록 돕는 구조를 뜻한다. 최근엔 유산균의 대사산물(포스트바이오틱스)를 더해 유익균의 활발한 증식을 돕는 기술을 적용한 제품도 있다.

프로바이오틱스는 다양한 유익균을 통칭한다. 식품의약품안전처(식약처)가 기능성을 인정한 프로바이오틱스는 19가지로 락토바실러스, 비피도박테리움 등이 가장 대중적으로 알려져 있다. 락토바실러스와 비피도박테리움도 각각의 이름 뒤에 붙은 균주에 따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다르다. 

같은 락토바실러스라도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루스는 장관 균총 관리와 유해균 억제에 도움을 주고, 락토바실러스 카제이는 배변활동을 원활히 해준다. 락토바실러스는 소장에서 서식하고, 비피도박테리움은 대장에서 활동하므로 이 모두를 고루 담아야만 종합적인 장 관리가 가능하다.

동아제약 셀파렉스의 프로바이오틱스 제품 장 솔루션은 소장과 대장 건강을 모두 챙길 수 있도록 7종의 유산균을 선별해 배합한 제품이다. 세계 3대 유산균 연구 기업 미국 듀폰 다니스코사의 100년 노하우가 담긴 균주들로 꼼꼼히 설계한 데다 부원료로 프락토올리고당, 락추로스분말 등을 추가한 신바이오틱스 구조이다. 

여기에 독자 개발한 포스트 바이오틱스(유산균생성물DA 배양액 및 사균체)까지 챙겨 유산균의 활동성까지 높였다. 하루 한 캡슐만으로 100억 함량의 유익균을 채울 수 있어 분말 타입을 먹기 어려워하는 사람도 간편히 섭취할 수 있다는 장점까지 갖췄다.

이외에도 종근당  등 여러 제약사들이 장 건강 맞춤형 유산균 제품을 판매하고 있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