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일째 이어진 대우조선해양 하청업체 노동조합 장기 파업 사태가 22일 노사 협상 타결로 종료됐다.

22일 업계에 따르면 하청업체 노사는 최근 며칠간 대우조선지회 중재로 사태 해결을 위한 대화를 진행해 이견을 좁혔다.

노사는 어제도 정회, 재개를 거듭하다 결론을 내지못했지만, 오늘(22) 오전 8시에 협상을 재개해 최종 합의 문구를 작성한 것으로 전해졌다.

노사는 협상의 막판 걸림돌이었던 손해배상 문제와 파업 기간 일자리를 잃은 조합원의 고용 승계 문제 등에서 합의점을 찾은 것으로 전해졌다.노사는 임금 30% 인상을 놓고 견해차를 좁히지 못하다가, 사측 4.5% 인상, 노측 5% 인상으로 폭을 좁히는데 성공했다. 

이에 따라 거제통영고성 조선하청지회 조합원은 51일간 파업을 마치고 현장으로 복귀한다. 31일간 이어진 1독(선박건조장) 초대형 원유운반선(VLCC) 점거 농성도 마무리한다.

내일(23일)부터 대우조선의 여름휴가가 시작되면서 극적 타결이 이뤄질 수 있는 마지노선은 사실상 오늘(22일) 밖에 불과했다. 

금일 오전 열린 정부서울청사에서 방기선 기획재정부 1차관 주재로 제3차 비상경제차관회의에서 방 차관이 "하청노사 간 이견이 상당 부분 좁혀진 만큼 오늘은 반드시 협상이 타결돼 불법점거 사태가 마무리되길 기대한다"고 밝히면서 파업이 종료되는 것이 아니냐는 예상이 나왔었다.

파업이 종료된 것은 정부의 압박이 큰 것으로 분석된다. 윤석열 대통령이 "대우조선해향 하청노조 파업사태에 대해 최근 "기다릴 만큼 기다렸다"며 공권력 투입을 시사한데다 산업은행까지 파업이 길어질 경우 대우조선해양은 회생절차 수순을 밟을 것이라고 경고했기 때문이다. 산업은행은 "조업차질에 따른 자금난에 대해 채권단은 추가 지원을 할 수 없다는 게 기본 원칙"이라고 밝힌 바 있다. 

대우조선 하청노조는 지난달 22일부터 1도크(선박 건조 공간)를 점거한 채 파업을 이어왔다. 대우조선 측은 이로 인해 진수작업을 진행하지 못하고, 선후 공정이 밀려 지금까지 7000억원이 넘는 손실이 난 것으로 추산했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