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카드가 데이터 기반 비즈니스 협업 플랫폼 데이터스를 오픈했다. 사진=롯데카드
롯데카드가 데이터 기반 비즈니스 협업 플랫폼 데이터스를 오픈했다. 사진=롯데카드

실외마스크 해제 등 엔데믹 시대가 도래했지만 거리두기 의무를 지키고자 하는 인원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름철 재유행 등 여러 예측이 나오며 개인 방역에 집중하는 경우가 많아진 것으로 보인다.

28일 롯데카드는 '엔데믹 시대, ○○한다·안 한다' 설문 조사 및 카드 결제 데이터 분석 결과를 밝혔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실외 마스크 의무 해제 후에도 '마스크를 쓰겠다'는 응답이 많으며 야외 여가활동도 코로나 19 확산 전 수준까지 회복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롯데카드는 지난 5월 27일부터 29일까지 개인 고객 4082명을 대상으로 ‘엔데믹 시대, OO 한다·안 한다’를 주제로 실외 마스크 착용, 해외여행 여부 의향 등을 묻는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롯데카드 엔데믹 시대 '○○한다·안 한다' 설문조사 결과. 사진=롯데카드
롯데카드 엔데믹 시대 '○○한다·안 한다' 설문조사 결과. 사진=롯데카드

그 결과 실외 마스크 착용 여부에 대해 ‘쓴다’는 응답이 72.1%를 차지했다. 20대를 제외한 전 연령에서 72% 이상이 ‘쓴다’고 답했으며 20대에서는 58.9%가 ‘쓴다’고 답했다.

사회적 거리두기 동안 일부 업종에 적용된 영업제한 조치 시작 시간이었던 저녁 10시에 ‘귀가한다’는 응답도 47.4%였다.

50대 이상에서는 ‘귀가한다’가 57.5%로 영업제한 조치 해제 후에도 서둘러 귀가하고자 하는 이들이 여전히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해외여행 의향에 대해서는 ‘간다’와 ‘안 간다’의 비중이 49.8%와 50.2%로 비슷하게 나타났다.

해외여행 계획이 있는 이들과 여행경비 상승, 코로나 19 감염 위험 등으로 여행을 미루는 이들이 반반이었다.

취식 금지 조치가 해제된 영화관 내 팝콘 취식 여부에 대해서는 60.2%가 ‘먹는다’고 답했다.

특히 60대 이상에서는 ‘안 먹는다’가 54.9%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영화관 내 취식을 꺼리는 사람의 비율이 높았다.

앞으로도 ‘(가능하다면) 재택근무를 하겠다’고 응답한 비중은 70%로 전 연령대에서 ‘하겠다’가 ‘하지 않겠다’보다 약 33% 포인트 이상 더 높았다.

이와 함께 롯데카드 개인 고객 결제 데이터 분석 결과 스포츠, 여행, 영화·공연 관람 등 야외 여가활동은 올해 5월 관련 업종의 매출건수가 2019년 평균을 10% 이상 밑돌며 코로나 19 확산 이전 수준까지 회복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온라인 스트리밍 서비스 등 등 집 안에서 이뤄지는  여가활동은 코로나 19 확산 이후 크게 증가해 올해 5월 관련 업종의 매출건수가 2019년 1분기 월 평균의 약 2배가 되기도 했다.

롯데카드 관계자는 “이번 조사를 포함해 앞으로도 고객의 소비와 일상 변화를 보여주는 다양한 인사이트를 롯데카드의 데이터 기반의 비즈니스 협업 플랫폼 ‘데이터스’ 등을 통해 공개할 예정”이라 밝혔다.

롯데카드 데이터스는 기업, 가맹점, 개인 등 이용자의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을 돕는 플랫폼이다.

데이터스는 ▲데이터 서비스 ▲분석 서비스 ▲광고 서비스 등을 제공한다. 데이터스가 제공하는 이슈 및 트렌드 전문 분석 서비스 ‘인사이트보고서’에서 이번 조사 결과에 대한 더 자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