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 1분기 보험사 생보사, 손보사 53곳의 당기순이익이 3조51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1.1%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손해보험사의 순익은 증가했으나 생명보험사의 손익이 절반 가까이 떨어지면서 전체적인 순익도 축소됐다.
30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022년 1분기 보험회사 경영실적(잠정치)에 따르면 올해 국내 생명보험사 23곳의 총 순익은 1조3991억원으로 지난해 1분기보다 45.2% 감소했다.

이는 저축성보험 매출 감소로 보험 영업이익이 2900억원 가량 감소한 데다 금융자산처분이익과 투자영업이익이 1조362원 감소한 탓으로 나타났다.
특히 삼성생명이 지난 1분기 삼성전자 특별배당으로 8019억원을 수령하면서 그 기저효과로 차이가 더욱 벌어지게 됐다고 금융감독원은 설명했다.
저축성보험과 변액보험 판매가 감소하면서 생보사의 수입보험료도 25조985억원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10.3% 감소한 수치를 냈다.
보장성보험과 퇴직연금은 각각 1.9%, 1.3%로 소폭 증가했지만 저축성보험과 변액보험 보험료가 각각 19.8%, 28.1% 줄었다.
손해보험사 30곳의 당기순이익은 1조6519억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25.4% 증가했다.
금융자산처분이익 감소 등으로 투자영업이익은 856억원 줄었으나 코로나19로 전체적인 손해율이 하락하며서 보험영업이익이 5714억원 증가한 덕이다.
손보사의 경우 전년 동기 대비 전 종목의 보험료가 고루 증가했다. 장기보험, 자동차보험, 일반보험은 각각 5.4%, 3.0%, 6.7% 늘었고 퇴직연금도 5.5% 증가했다.
다만 생보사의 원수보험료가 큰 만큼 전체 보험사의 수입보험료는 1조6219억원으로 2021년 1분기보다 3.1% 축소됐다.
순이익이 줄면서 수익성도 악화됐다. 전체 보험사의 총자산이익률(ROA)와 자기자본이익률(ROE)는 각각 0.91%, 9.86%로 전년 동기 대비 0.27%, 1.32% 하락했다.
생보사의 경우 ROA는 0.57%로 지난해 1분기보다 0.48% 낮아졌고 ROE의 경우 7.06%로 3.93% 줄어들면서 10%대 밑으로 주저앉았다.
손보사는 전체적인 보험 이익이 늘어난 데다 손해율이 개선되면서 ROA와 ROE가 각각 1.81%, 14.83%로 지난해 1분기보다 0.28%, 3.26% 늘었다.

재무상태는 기준금리 인상으로 매도가능 증권평가이익이 20조7000억원 감소한 영향을 받아 소폭 줄었다.
총자산과 자기자본이 각각 1330조6883억원, 112조9889억원으로 직전분기보다 각각 2.1%, 16.1% 축소됐다.
금융감도원은 “올해 1분기 보험사의 당기순익은 생보사 실적 악화 등에 따라 감소했으며 향후 수익성 전망도 불투명하다”고 평가했다.
이어 “금리·환율 변동성 확대 등 금융시장 불확실성이 증대되고 있어 보험사는 재무건전성 제고 및 리스크관리에 철저를 기할 필요가 있다”고 진단했다.
금융감독원은 이를 위해 재무건전성 및 수익 구조가 취약한 보험회사를 중심으로 보험영업, 손익 및 리스크 관리에 대한 상시감시를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