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G생활건강이 11일 공시를 통해 2022년 1분기 매출이 전년동기 대비 19.2% 감소한 1조 6450억원, 영업이익이 52.6% 감소한 1756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정치, 경제, 사회적으로 최악의 상황이 전개되었던 중국 영향으로 인해 뷰티(화장품) 사업 성장은 어려웠으나 에이치디비(홈/데일리뷰티)와 리프레쉬먼트(음료)가 실적을 이어나가며 중국 영향을 일부 상쇄했다.
중국 영향 제외 시 매출은 전년동기 대비 3.9% 성장했고 우크라이나 사태로 인한 전세계적인 급격한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영업이익은 5.6% 감소했다.
뷰티(화장품)사업은 제로 코로나 정책으로 어려움이 지속됐던 중국의 영향으로 1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이 감소해 매출 6996억원에 영업이익 690억원을 기록했다.
중국 실적 제외 시 1분기 매출은 전년동기 대비 6.4% 감소, 영업이익은 0.7% 감소했으며 어려운 시장 환경에서도 ‘후‘, ‘숨’, ‘오휘‘, ‘빌리프’, ‘CNP’ 등 주요 럭셔리 브랜드를 중심으로 신제품 출시와 함께 디지털 갤러리를 오픈하고 NFT를 발행하는 등 다양한 시도를 지속하고 있다.
에이치디비(홈/데일리뷰티)사업의 1분기 매출은 전년동기 대비 6.1% 성장한 5526억원, 영업이익은 16.6% 감소한 552억원을 기록했다.
‘벨먼’, ‘엘라스틴’, ‘피지오겔’ 등 탄탄한 수요를 가진 프리미엄 데일리뷰티 브랜드들과 시장 선두 입지를 가진 홈케어 브랜드들이 선전하며 높은 매출 성장을 달성했지만 원부자재 가격과 물류비 상승에 따른 원가부담으로 영업이익은 감소했다.
리프레시먼트(음료)사업의 1분기 매출은 전년동기 대비 9.9% 성장한 3,927억원, 영업이익은 2.6% 성장한 514억원을 달성했다.
높은 성장을 보인 ‘코카콜라‘와 지난해에 이어 두 자릿수의 성장률을 기록한 ‘몬스터 에너지’가 성장을 견인했고 비탄산 음료 ‘파워에이드’와 ‘토레타’는 건강에 높은 관심을 갖고 있는 소비자들의 선택의 폭을 넓혀주며 성장을 이끌었다.
한편 LG생활건강은 북미 뷰티 사업 확대를 위해 지난달 The Crème Shop(더크렘샵) 인수 계약을 체결했고 현지 마케팅과 영업 역량을 높여 나가며 북미 시장에서 본격적인 성장을 준비하는 등 시장 다변화를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
- [Daily Pick 유통] 하림, 쿠팡, 세븐일레븐, 웅진식품, LG생활건강, 롯데칠성음료 外
- LG그룹 주요 계열사들, 올해 평균 연봉 '1억 시대' 연다
- [Daily Pick 유통] LG생활건강, 현대백화점, 세븐일레븐, 이마트24 外
- LG생활건강, 더크렘샵 주식 1484억원어치 취득… 지분율 65%
- LG생활건강, 라이브 커머스 전문 인플루언서 육성
- [Daily Pick 유통] SPC삼립, 롯데제과, LG생활건강, 풀무원 外
- LG생활건강, 日 홋카이도에 ‘마이크로바이옴 센터’ 설립
- 해태htb, 숙취해소 음료 시장 공략…신제품 내놓는다
- LG생활건강, '후' 중국서 '저명상표'로 인정
- LG생활건강, 피지오겔 모델에 아티스트 지코 발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