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한은행은 12일 GS리테일과 슈퍼마켓 혁신점포를 GS 더프레시 광진화양점 내에 오픈한다고 밝혔다.
GS더프레시 광진화양점은 건대입구역 인근에 위치해 하루 내점 고객만 2000명이 넘는 대형 점포다. 특히 대학교와 근접해 있어 지역 특성상 2030고객이 주로 찾는다.
신한은행은 해당 점포 내 ‘GS리테일 X 신한은행’ 혁신 공간을 만들고 화상상담창구인 디지털데스크, 스마트키오스크를 설치한다.
디지털데스크는 신한은행 디지털영업부 직원과 화상상담을 통해 대출, 펀드, 신탁, 퇴직연금 등 영업점 창구 대부분의 업무처리가 가능하고 스마트키오스크는 예금 신규 등의 간단한 창구 업무를 할 수 있다.
또한 혁신점포는 로봇 컨시어지가 고객을 맞이해 직접 안내를 하거나 QR코드를 통해 이벤트 공지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AI은행원은 디지털데스크와 스마트키오스크에 접속한 고객들이 필요한 업무를 확인하고 간단한 업무도 처리한다.
디지털데스크를 통한 화상상담 업무는 오전 9시부터 오후 8시까지, 스마트키오스크는 24시간, 365일 이용이 가능해 2030 고객들의 라이프 스타일에 맞게 운영한다.
신한은행 관계자는 “뛰어난 접근성을 강점으로 지역 커뮤니티의 생활 플랫폼으로 자리잡은 GS리테일의 슈퍼마켓에 디지털 혁신 공간을 구현함에 따라 은행의 경계를 넘어 새로운 고객 창출이 기대된다”며 “향후 혁신점포를 전국 단위로 확대해 고객들이 더 쉽고, 편안하며, 더 새로운 금융을 체험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라고 말했다.
한편 신한은행은 지난해 7월 디지로그 브랜치 개점을 시작으로 10월엔 강원도 정선군 고한읍에 GS리테일 편의점 혁신점포를 선보이고 현재까지 33개의 무인형 점포인 디지털 라운지를 운영 중이다.
디지털 데스크의 확대와 발전을 통해 점포 통폐합으로 인한 고객 불편을 최소화하려는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
- 신한카드, 자동차 금융 속도 낸다…‘겟차’와 전략적 투자 협약 체결
- 푸본현대생명 ‘MAX 미리받는 종신보험’ 출시
- 삼성 금융계열사, 공동 브랜드 ‘Samsung Financial Networks’ 론칭
- 은행권에 부는 효율화 바람…저축은행도 점포 줄였다
- 우리은행, 모바일뱅킹 메인화면 개편…로그인, 거래속도 개선
- 금융교육 현장으로 뛰어든 신한·하나은행
- 국민은행,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과 맞손…中企 ESG 경쟁력 강화
- '잇따른 사망사고' 현대건설, 20개 현장 안전조치 미준수 사법조치
- [Daily Pick 유통] CJ제일제당, 오리온, 세븐일레븐, 아워홈, SPC그룹, 남양유업 外
- 신한은행, GS리테일과 편의점 혁신점포 3호점 오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