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가 휴대폰 사업 종료에 이어 태양광 패널사업도 철수한다.
LG전자는 선택과 집중을 통해 핵심사업과 미래준비에 집중하기 위해 태양광 셀 및 모듈(이하 태양광 패널) 사업을 종료한다고 23일 밝혔다.
LG전자는 그동안 태양광 패널 사업의 방향성을 놓고 지속적으로 검토해왔고, 22일 오후에 열린 이사회에서 오는 6월 30일자로 태양광패널 사업을 종료키로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지난 2010년 태양광 패널 사업을 시작해 N타입, 양면형 등 고효율 프리미엄 모듈 위주로 사업을 운영해온 LG전자는 글로벌 태양광 시장에 저가 제품 판매가 확대되며 가격경쟁이 치열해지고, 폴리실리콘을 비롯한 원자재 비용이 상승하는 등 시장과 사업환경이 악화되면서 이 같은 결정을 내렸다.
LG전자 태양광 패널의 글로벌 시장점유율은 지난 수년간 1%대에 머물며 매출과 영업이익이 감소해왔다. 2019년 1조1000억원 대 매출은 2020년 8000억원 대로 하락했고, 향후 사업의 불확실성도 지속되는 추세다.
LG전자는 A/S 등 필요물량을 감안해 2분기까지 태양광 패널을 생산할 계획이다.
태양광 사업 철수에 따라 패널사업 관련 국내 600여명을 포함한 에너지사업부 직원 900여명은 재배치를 진행한다.
재배치는 직원들의 역량과 의향을 우선적으로 고려하되, 타업본부 및 LG계열회사의 인력수요를 종합적으로 판단해 진행할 계획이다. LG전자는 타 지역으로 근무지를 옮기는 직원들에게 노조와 충분한 협의를 거쳐 이들이 새 근무지에 빠르게 적응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LG전자는 사업 포트폴리오 고도화에 힘을 쏟고 있다.
태양광 패널 사업이 속한 B2B 사업을 담당하는 BS사업본부는 ▲IT(모니터, 노트북 등) ▲ID(사이니지, 상업용 TV 등) ▲로봇 사업 등에 집중하는 한편, 사업본부 및 전사 차원의 신사업을 검토, 육성할 계획이다. 신사업의 경우 사내벤처, CIC(사내회사) 등 혁신 프로세스를 도입하고 역량 확보를 위한 인수합병(M&A), 전략적 협력 등도 검토할 계획이다.
한편 LG전자는 ESS(에너지저장장치, Energy Storage System)와 빌딩에너지관리솔루션인 LG BECON을 포함해 진행중인 에너지 관련 사업과 연구개발은 지속한다.
LG전자는 생활가전, TV 등 기존 주력사업에서는 하드웨어 중심이던 사업 체계를 소프트웨어 및 콘텐츠 분야까지 확대하며 고객가치 및 경쟁력을 높이는 데 주력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26년간 이어온 휴대폰 사업을 종료하며 자동차부품 사업에서 세계 3위 자동차부품업체 마그나 인터내셔널과 손잡고 전기차 파워트레인 분야 합작법인 LG마그나 이파워트레인(LG Magna e-Powertrain Co.,Ltd)을 설립하는 등 신사업의 성장 잠재력을 키우고 있다.
- 케이뱅크, 당근페이 제휴 기념 현금 지급 이벤트
- KB국민카드, 퓨처나인 5기 ‘데모데이’ 개최
- 효성티앤씨, 국내 최대 섬유전시회에서 ‘탑텐’과 협업
- 현대차그룹 루크 동커볼케 부사장 월드 카 어워즈 '세계 올해의 자동차인' 선정
- 롯데하이마트, 조손가정 결연아동에 신학기 입학 격려 지원금 전달
- 코스피, 러-우 긴장 고조에도 상승 마감…2700선 지켰다
- [Daily Pick 유통] 스타벅스, LG생활건강, SPC삼립, 풀무원식품, 세븐일레븐, 바디프랜드 外
- [출근길 5분 뉴스] 뉴욕증시↓·날씨·코로나18만명·출산율꼴찌·유류세인하·갤럭시S22기록·LG전자·현대산업개발·유안타증권먹통·새우깡인상 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