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한카드가 미화 4억달러규모 소셜 본드를 공모 형태로 발행했다고 21일 밝혔다.
신한카드는 최근 미국의 금리 인상 및 긴축 정책으로 인한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 속에서도 발행액의 4배가 넘는 주문을 끌어 모으며 발행에 성공했다.
미국 국채 금리가 연초대비 20bp(basis point, 0.01%) 이상 급등하는 불안정한 금융 시장 환경에도 발행을 성사해 글로벌 금융시장에서의 입지를 확인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특히 이번 청약에는 주문의 96%가 아시아에서, 나머지 4%는 유럽에서 청약되는 등 전세계 투자자 105개 기관이 참여해 16억 달러의 주문이 몰렸다.
이번 채권은 국제신용평가사 무디스로부터 ‘A2’를 받는 등 업계 최고 수준 신용등급을 받았다.
또한 높은 흥행에 힘입어 최초 제시한 가산금리(이니셜 가이던스 125bp) 대비 30bp를 끌어내리며 미국채 5년 금리 대비 최종 가산금리는 95bp로 결정되었다.
신한카드의 이번 소셜 본드는 최근 ESG 채권 투자 확대 추세에 따라 아시아를 비롯한 글로벌 투자자들의 높은 관심을 받았다.
조달된 자금은 저신용, 저소득층 등 사회취약계층 금융 지원에 사용될 예정이다. 신한카드는 금리 인상에 대비해 연초 선제적으로 자금 조달에 나선 것이라고 채권 발행 배경을 설명했다.
한편BNP파리바(BNP Paribas), 씨티(Citi), 크레디 아그리콜 CIB(Credit Agricole-CIB), MUFG, 스탠다드차타드(Standard Chartered)가 발행 주관사로 참여한 본 채권은 싱가포르 증권거래소에 상장하였다.
신한카드 관계자는 “금리 변동성 확대로 투자 심리가 경직된 상황에서도 글로벌 채권시장에서 성공적으로 거액의 자금을 조달해 차입선을 다변화할 수 있게 됐다”며“향후 글로벌 채권시장에서 여전사들의 한국물 발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 임영진 신한카드 사장 "일류신한 달성하자"… 업적평가대회 개최
- 신한카드, 2022 소비 트렌드 ‘U.N.L.O.C.K’ 제시
- “이제 결제는 터치다”…‘신한pLay 터치결제’ 누적이용액 1조원 돌파
- 신한카드, 메리어트와 두번째 PLCC 출시
- 신한카드, 고객경험도 혁신한다…일류 플랫폼 진화 선언
- 기재부, 2월부터 ‘배달앱 별 배달수수료’ 소비자원 홈페이지 공개
- 경영전략회의 통해 디지털뱅킹 의지 다진 신한·우리은행
- 서울사랑상품권 카드 구매 가능해진다…신한카드 '서울페이+' 오픈
- 신한pLay '비금융 콘텐츠' 인기…운세에서 NFT까지
- 신한카드, 업계 최대 규모 고객자문단 운영
- 봄맞이 인테리어 새단장, 신한카드와 함께 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