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페이가 자산관리 서비스를 마이데이터 기반으로 개편했다. 사진=카카오페이
카카오페이가 자산관리 서비스를 마이데이터 기반으로 개편했다. 사진=카카오페이

카카오페이가 사용자 맞춤형 금융 자산∙지출 분석 서비스 ‘자산관리’를 마이데이터 기반 서비스로 개편했다고 15일 밝혔다.

카카오페이는 마이데이터 시대를 맞아 소셜 데이터 바탕, 개인화된 자산관리 서비스를 제공해 차별성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이번 개편의 가장 큰 특징은 소셜 데이터를 접목해 연령에 따른 평균 금융 데이터를 비교할 수 있다는 점이다.

사용자는 본인 자산 뿐만 아니라 또래의 평균 자산을 비교해 보며 체계적인 관리를 할 수 있도록 돕는다.

개인 맞춤형 금융관리를 위한 다양한 편집 기능도 제공한다. 자주 사용하는 금융상품은 즐겨찾기에 추가하고, 민감한 자산은 숨길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해 개인 자산관리 편의성을 높였다. 

또한 지출 상세내역에서 소비 카테고리를 편집하고 메모할 수 있는 기능을 추가해 사용자가 직접 소비내역을 정리하고 지출 현황을 파악할 수 있다.

금융자산 영역도 확대됐다. 예∙적금, 카드, 보험, 금융투자, 대출, 전자금융, 통신 등 다양한 금융자산을 한눈에 확인하여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사용자 친화적 설명과 UI ∙UX 구성도 강화했다. 마이데이터 서비스 가입 단계에 사용자들 이해를 높일 수 있도록 쉽게 설명하고, UI∙UX를 직관적으로 구성했다.

카카오페이는 “기존에 사용자가 1500만명가량인 만큼 그동안 쌓아온 기술과 데이터를 기반으로 개인화된 금융자산 분석, 금융정보 맞춤 관리, 상품 추천 등 서비스를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개편된 카카오페이 ‘자산관리’는 카카오톡 최신 버전(9.6.0) 이상에서 ‘더보기’를 선택한 후 ‘자산’ 메뉴에서 이용할 수 있다. ‘카카오페이앱’ 내 자산관리는 12월 말에 출시 예정이다.

카카오페이는 마이데이터 시범 운영 기간 동안 서비스 안정화 및 고도화 작업을 거쳐 내년 1월에 정식 오픈된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