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은행은 16일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현지법인 ‘KDB실리콘밸리’를 개소했다. 왼쪽부터 서성훈 KDB실리콘밸리 법인장, 장병돈 산업은행 혁신성장금융부문장, 이동걸 산업은행 회장, 김병수 뉴욕지점장. 사진=KDB산업은행
산업은행은 16일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현지법인 ‘KDB실리콘밸리’를 개소했다. 왼쪽부터 서성훈 KDB실리콘밸리 법인장, 장병돈 산업은행 혁신성장금융부문장, 이동걸 산업은행 회장, 김병수 뉴욕지점장. 사진=KDB산업은행

산업은행이 미국 실리콘밸리에 직접 진출했다.

산업은행은 17일 KDB실리콘밸리를 개소해 벤처투자 업무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KDB실리콘밸리는 현지에서 직접투자 및 펀드출자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현지법인 형태로 설립됐다.

산업은행은 혁신의 성지인 실리콘밸리 생태계 안에서 현지 스타트업, 투자자와 네트워크를 넓혀 한국계 창업기업에 대한 직접투자를 전개하기 위해 법인을 설립했다고 밝혔다.

또한 현지에서 활동 중인 한국계 엔지니어, 벤처캐피탈, 대기업 등과도 활발한 관계를 형성해 국내 스타트업의 현지 진출 시 교두보로써 역할을 수행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KDB실리콘밸리는 올해 5월, 자본금 500만 달러로 설립돼 개설준비 과정을 거쳤다. 이달 9500만 달러의 증자를 실시하면 전체 자본금은 1억 달러 규모로 업무를 시작할 예정이다.

자본금 증자와 함께 현지 시장조사를 통한 잠재 투자처 발굴도 나선다.

직접투자 대상은 현지에서 한국계 창업자가 설립한 스타트업이며 미국으로 진출하는 국내 스타트업 또한 해당된다.

아울러 국내 대기업과 오픈이노베이션을 위해 협력하거나 한국에 사무소를 열고 개발인력을 채용하는 등 역으로 한국에 진출하는 미국 스타트업 또한 포함될 예정이다.

KDB실리콘밸리는 설립 초기인 점을 감안하여 당분간 대규모 투자보다는 창업 초기 및 Series A단계 투자에 집중할 예정이다.

이후 이들에 대한 후속투자 또는 후기단계 스타트업에 대한 스케일업 투자는 산업은행 본점과 공동투자 등 유기적 협력을 통해 투자 규모를 확대할 계획이다.

또한 KDB실리콘밸리는 현지 벤처펀드 앞 출자자(LP)로 참여하는 간접투자 업무 또한 병행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현지 벤처캐피탈과 네트워킹 및 딜소싱 채널 확보, 한국계 스타트업에 대한 관심을 높인다는 전략이다. 아울러 본점과 협업해 미국 대형 벤처캐피탈과 공동투자 등 협력관계를 구축할 예정이다.

산업은행 이동걸 회장은 “앞으로 KDB실리콘밸리는 미국 현지의 창업가, 엔지니어, 투자자 등을 아우르는 한국계 벤처 커뮤니티의 구심점으로서 국내 벤처·스타트업이 글로벌 K-유니콘으로 성장해나갈 수 있도록 해외 진출을 지원할 것”이며 “국내와 해외 벤처생태계를 잇는 새로운 연결고리가 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