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식시장 상장까지 우여곡절이 많았던 카카오페이가 일단 투자자 관심을 끄는데 성공했다.
25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카카오페이 일반 청약을 받은 결과 60만863건이 접수됐다. 공모주 청약은 삼성증권, 대신증권, 한국투자증권, 신한금융투자 등 4개 증권사가 진행했다.
카카오페이 청약 마감은 아직 하루 더 남았지만, 투자자의 관심은 뜨거웠다. 총 청약 주식 수는 3387만580주가 몰려 경쟁률은 7.97대1을 기록했다.
청약 증거금도 1조5241억7610만원이 몰렸다. 이로써 예상 균등 물량은 1인당 7.07주로 전망된다.
카카오페이는 일반 청약자 몫 공모주 물량 100%를 균등 배정한다. 또 중복청약 금지 방침에 따라 한 증권사에 청약하면 다른 증권사에선 청약할 수 없어 투자자 사이에선 눈치 작전이 필수다.
현재 증권사별 경쟁률은 삼성증권이 7.34대1, 대신증권 2.55대1, 한국투자증권 16.96대1, 신한금융투자 12.69대1 등이다.
주식을 한 주라도 더 받으려면 청약 주식 수 대비 청약 건수가 낮은 증권사에 청약하는 것이 유리하다.
증권사별 물량은 삼성증권 230만주, 대신증권 106만주, 한국투자증권 70만주, 신한금융투자 17만주 등 순이다.
증권사들은 청약 첫날 오후 10시까지 온라인 청약을 받는다. 마감일인 26일은 오후 4시까지 진행된다.
야간 청약은 신한금융투자에서 첫 선을 보였지만 삼성증권이 저변을 확대했다.
삼성증권의 야간 공모주 청약은 지난 8월 개시해, 평일 낮시간을 활용하기 어려운 대다수의 직장인, 자영업자 등의 투자자들이 적극 활용하고 있다.
삼성증권은 케이카 청약, 차백신연구소, 지앤비에스엔지니어링 등 최근 진행된 공모주청약에서 청약 첫날 청약자의 10% 이상이 야간 온라인 청약을 이용했을 정도로 큰 호응을 얻고 있다.
특히 삼성증권은 이번 카카오페이 청약부터 온라인으로 청약을 신청하는 고객 중 청약 신청 당일에 계좌를 개설하는 경우에도 특정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에 한해 청약을 가능하게끔 서비스를 확대했다.
한편 카카오페이는 2014년 간편결제 서비스를 선보인 뒤 결제 사업의 탄탄한 시장 지위를 확보했다.
이번 상장을 통해 카카오페이는 다양한 신규 서비스와 편의 기능을 구상하고 있다.
카카오페이증권의 모바일 주식거래 서비스(MTS)가 준비 중이며 디지털 손해보험사를 설립도 추진한다.
대출 중개 분야에서도 자체 구축한 대안신용평가모델을 활용해 금융 이력 부족자들에게 금융서비스 이용 기회를 제공하고 신용대출상품에 이어 전세 및 주택담보대출, 카드대출 등도 선보일 계획이다.
이번 기업공개를 통해서 조달되는 자금도 성장 전략에 따라 사용될 예정이다.
카카오페이는 “타 법인 증권 취득 자금은 증권 리테일 사업 확장, 디지털 손보사 자본 확충, 이커머스 파트너십 구축 및 지분투자, 유망 핀테크 기업을 M&A 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될 것이며 운영자금은 오프라인 결제 인프라 확충과 소액 여신 서비스 운영에 사용될 계획”이라고 전했다.
- 카드사 노조 “득 보는 이 없는 카드수수료 재산정 제도, 폐지하라”
- 토스·카카오·네이버페이로 잘못 보낸 돈 130억원
- 카카오페이, 2021 프로덕트 매니저 채용… 비기술 직군 첫 공채
- 고평가 논란 카카오뱅크, 윤호영 대표 답변은 “우린 혁신기업”
- [Daily Pick 유통] 파라바게뜨, 동서식품, 롯데제과, 동원그룹 外
- 삼성카드, 기존 혜택 업그레이드 '신세계 아울렛 BENEFIT 카드' 출시
- [Daily Pick 유통] 오리온, 롯데칠성음료, 베스킨라빈스, CU, 롯데백화점, 현대백화점 外
- 카카오페이 공모주 청약 경쟁률 29.6대1 기록…내달 3일 코스피 상장 예정
- 카카오페이, 생체인증 국제표준규격 획득
- 카카오페이, 신임 대표이사에 신원근 현 CSO… 류영준은 카카오 공동대표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