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포스코그룹과 GS그룹이 신사업을 통한 미래 성장 기반을 구축하기 위해 손잡았다.
포스코그룹과 GS그룹은 7일 오후 역삼동 GS타워에서 양측의 최고경영층이 참석한 가운데 '포스코-GS 그룹 교류회'를 갖고 이차전지 리사이클링 및 신 모빌리티, 수소사업 등 양사의 핵심 신사업 협력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이날 교류회에는 포스코그룹 최정우 회장을 비롯해 포스코 글로벌인프라부문장, 신성장부문장, 산업가스수소사업부장, 경영지원본부장, 포스코에너지 대표이사, 포스코인터내셔널 식량소재본부장 등이 참석했으며, GS그룹에서는 허태수 회장, (주)GS 홍순기 사장, 재무팀장(사장), 미래사업팀장(전무) 그리고 GS에너지 허용수 사장과 GS칼텍스 전략기획실장(전무) 등이 참석했다.
최정우 포스코그룹 회장은 "코로나 팬데믹의 장기화로 인해 미래 불확실성이 증대되고, 기후변화 위기가 한층 고조돼 탄소중립을 위한 대규모 투자와 사업구조 개편은 기업 경영의 상수로 자리잡았다"며 "이번 교류회가 수소, 배터리 등 빠르게 성장하는 친환경 시장을 포함한 다양한 사업분야에서 그룹 차원의 협력 기틀을 마련한다는데 의미가 있다"고 밝혔다.
허태수 GS그룹 회장은 "양사가 보유하고 있는 역량과 자산 그리고 탄탄한 기존사업을 바탕으로 서로 협력해 나간다면 새로운 시너지를 낼 수 있을 것"이라며 "디지털을 접목한 친환경 중심의 미래사업을 함께 발굴하고 성장시켜 고객과 사회를 위한 가치 창출에 기여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다.
우선 포스코그룹과 GS그룹은 '이차전지 리사이클링 및 新모빌리티' 분야에서 협력을 논의했다. 포스코는 지난 5월 화유코발트사와 합작으로 '포스코HY클린메탈'을 설립하고, 이차전지 제조과정에서 발생하는 공정스크랩을 주원료로 활용하는 이차전지 리사이클링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포스코그룹은 GS그룹이 보유한 자동차 정비 및 주유, 글로벌 네트워크 등을 활용해 이차전지 리사이클링 원료공급을 위한 JV(합작사)설립을 추진키로 했다. 아울러 GS에너지가 투자 중인 전기차 배터리 상태를 진단/평가할 수 있는 기술을 기반으로 폐배터리를 정비, 재사용 또는 재활용 여부를 판단하는 등의 BaaS 사업까지 협력 범위를 확대하기로 했다.
수소사업’분야에서는 해외프로젝트 공동 참여 및 신규 수요처 발굴 등 블루·그린수소 생산부터 저장, 운송 및 활용에 이르기까지 밸류체인 전반에 걸친 협력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하고, 국내 수소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한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양 그룹을 대표하여 포스코 산업가스수소사업부장과 GS에너지 에너지자원사업본부장은 수소사업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친환경 바이오 사업’분야에서는 포스코인터내셔널이 보유한 팜(palm, 야자나무) 농장 및 가공 설비와 GS칼텍스의 바이오 연료 생산기술, 판매 인프라를 활용해 팜 정제유 사업 확대 및 재생 원료 기반의 바이오항공유 등 차세대 바이오연료 사업을 위해 협력하기로 했다.
그 외에도 양 그룹이 보유한 벤처 투자 인프라를 활용한 이차전지 및 수소 분야 유망기업 공동발굴, 주요 사업장 탄소저감 활동 추진 등 ESG 경영을 포함해 폭넓은 분야에서의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 포스코, 설비투자시 협력사 의경청취 프로세스 도입..."현장 목소리 적극 반영해 안전 챙긴다"
- '친환경 소재로 100년 기업의 길을 가다' 대주제로 2021 포스코포럼 개최
- 포스코, 글로벌 2위 태양광 발전설비 제작사 美 ATI에 '포스맥' 20만톤 공급한다
- LG유플러스-GS리테일 AI 기반 최첨단 지능형 편의점 선보인다
- 기업 총수, 지분 3.5%로 계열사 지배…사익편취 사각지대 회사도 증가
- 코스피, 外人·기관투자자 매도에 3200선 내줘
- [재계산책] "리처드, 이렇게 할까요?"...재계 '호칭 파괴' 바람 속 '인건비 줄이기' 꼼수 지적도
- 판 커진 한샘 인수전… LX하우시스 가세
- 최정우 포스코 회장 "탄소중립 선도… 수소환원제철 상용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