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가 청소년복지시설에서 생활하는 '가정 밖 청소년'의 퇴소 후 경제적 자립을 돕기 위해 '자립두배통장' 제도를 추진한다.
대상 청소년의 매월 저축액의 2배를 최대 20만원까지 경기도가 추가 지원하는 내용으로 월 10만원씩 6년간 저축할 경우 2160만원의 목돈을 마련할 수 있다.
1일 경기도에 따르면 '자립두배통장' 사업계획을 마련해 7월부터 경기도의회, 시장·군수, 보건복지부 사회보장심의위원회 등과 협의할 예정이다. 계획대로 진행되면 내년부터 100여명을 대상으로 사업을 시작한다는 계획이다.
'가정 밖 청소년'은 가정불화, 학대, 방임 등의 이유로 집을 떠나 청소년복지시설에서 생활하는 청소년으로 본인의 의사에 따라 언제든지 시설을 떠날 수 있지만 만 24세가 되면 의무적으로 퇴소해야 한다.
아동복지시설에서 생활하다가 만 18세 이후 퇴거하는 '보호종료아동'과 달리 가정 밖 청소년은 퇴소 이후에 디딤씨앗통장, 자립정착금 등 현금 지원혜택을 전혀 받지 못하고 있다.
지난해 경기도내 가정 밖 청소년은 4300여명으로 이들 가운데 시설 퇴소 후 가정으로 돌아가는 비율은 35% 정도다. 나머지는 친구집이나 자취 등 불안정한 주거 환경에 놓인다.
경기도가 추진할 '자립두배통장'은 청소년 본인 매월 저축액의 2배(최대 20만원)를 도가 추가 적립하는 내용이다. 10만원을 저축하면 도가 20만원을 지원해 총 30만원을 모을 수 있다. 2년 후 원금 기준으로 720만원, 최대 6년 적립시 2160만원의 목돈을 마련할 수 있다.
지원대상은 경기도내 거주하는 기준중위소득 120% 이하인 15~24세 가정 밖 청소년이다. 청소년쉼터에서 3년 이상 거주하고 있거나 퇴소한 사람 또는 청소년쉼터에서 1년 이상 거주 후 청소년자립지원관에서 6개월 이상 지원받고 있어야 한다. 선정된 청소년은 2년 단위로 최대 6년까지 지원받을 수 있다.
박승삼 경기도 평생교육국장은 "쉼터 퇴소청소년들은 돌아갈 가정이 있는 경우에도 아동복지시설 보호종료아동들과 비교해 경제적 처지가 다를 바 없는 사례가 많다"며 "이러한 사례의 청소년들에게는 현금 지원을 비롯한 경제적 지원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 경기도-현대차그룹, 친환경 모빌리티 확대 협약… 1022억 투자
- 경기경제청, 평택 포승지구에 전기차 관련기업 4곳 유치
- '41년 만의 무죄 판결' 신극정 전 경기도 정무부지사 소회 밝혀...
- 경기도·산업부·신보, 쌍용차 협력업체 750억원 지원
- '2021년 대한민국우수지방자치단체평판대상' 시상식 열린다.
-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사법 리스크 더 커져... 경영행보 차질 '불가피'
- 경기도, 고액체납자 은닉재산 압류… 명품백부터 요트까지 다양
- 이재명 경기도지사 "공공주택 공급·비필수부동산 세부담 늘려야"
- 이재명 경기도지사 "전면 봉쇄 위기… 방역지침 준수 동참해달라"
- 광명·고양·화성 등 4곳 공공재개발 추진… 7천호 공급 기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