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조선해양 조선소 전경(사진=현대중공업 그룹)
한국조선해양 조선소 전경(사진=현대중공업 그룹)

현대중공업의 대우조선해양 인수 결합승인 절차가 예상보다 지연되고 있다. 일본, 한국 등 아직 결합승인을 완료하지 않은 국가들이 EU(유럽연합)의 승인이 어떻게 날 지 눈치를 보고 있는 상황이다. 

22일 업계에 따르면 EU는 현대중공업과 대우조선해양의 기업결함 심사를 재개하지 않고 있다. 지난해 7월 13일 이후 조사가 중단된 상태로 업계에서는 올 하반기에나 EU의 승인절차가 재개될 것으로 보고 있다. 

EU 집행위원회 산하 경쟁분과위의 마리아 초니 대변인은 지난 13일 "당사자들이 위원회가 요청한 인수·합병 관련 중요 정보를 적시에 제공하지 않을 경우, 조사는 중단된다"며 "지난해 7월 13일 이후 조사가 여전히 중단된 상태"라고 언급했다. 

현대중공업은 지난 2019년 3월 대우조선해양 인수 선언 후 본계약을 맺었다. 2019년 7월부터 해외 각국의 기업결합 승인절차가 시작됐다. 한국, EU, 일본, 중국, 카자흐스탄, 싱가포르 등 6개국에서 기업결합 심사를 신청했다. 2019년 10월 카자흐스탄이 승인한 것을 시작으로 지난해 8월 싱가포르, 12월 중국에서도 승인이 완료됐다. 

이로써 EU와 한국, 일본 등 3개국의 승인절차만 남은 상황이다. 

현대중공업의 대우조선해양 인수합병 결합승인의 키를 쥐고 있는 것은 EU다. 하지만 EU 집행위원회는 올해 초 코로나19의 유럽 확산이 가속화되면서 EU 집행위원회는 심사를 세차례나 일시 유예했다. 업계에는 EU가 코로나 핑계를 대고는 있지만 초대형 조선사의 탄생을 우려해 견제하고 있다는 분석도 제기된다. 

유럽은 LNG운반선 선사들이 집중돼 있는 지역으로 독과점 우려를 강하게 제기한 곳이다. 조선사들에 선박을 주문하는 주요 선주들이 EU 회원국에 몰려있는데, 두 기업의 합병으로 LNG 선박 가격이 높아질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한국과 일본은 EU 눈치를 보고 있다. 

한국에서는 공정거래위원회가 기업결합 심사를 진행 중에 있다. 공정위는 국내 기업간의 인수합병이어서 가장 먼저 승인을 내줄 경우 자국기업 특혜논란을 우려해 EU의 결정을 보고난 후 승인결정을 내릴 것으로 예상된다. 세계 1위, 2위간의 조선사 합병에 반대하는 입장을 펼쳐온 일본 역시 EU의 결정을 주목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조선업계 관계자는 "기업결합 승인의 키를 쥐고 있는 것은 EU"라며 "한국과 일본이 EU의 눈치를 보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키를 쥐고 있는 EU의 결합승인 결과가 지연되면서 현대중공업의 대우조선해양 인수가 예상보다 더 많은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 EU와 일본에서 우려를 표명하는 독과점 문제에 대한 명확한 답을 현대중공업이 내놔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현대중공업은 올해 안에 합병을 마무리 짓는다는 계획이다. 

현대중공업 관계자는 "당초 올 상반기중 EU의 기업결합 심사 결과가 나올 것으로 기대했으나 EU의 심사작업이 하반기로 늦춰질 가능성이 커졌다"며 "국내외 결합승인 절차를 잘 마무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