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협중앙회가 해외 인터넷 주소(IP) 접속을 통한 금융사고 예방에 나선다.
수협중앙회는 25일 고객 자산 보호를 위해 해외 IP 접속 시 금융거래를 제한하는 '해외 IP 차단 서비스'를 오는 27일부터 도입한다고 밝혔다. 이번 조치는 개인정보 도용 등 해외 발(發) 금융 범죄를 예방하기 위해 마련됐다.
앞으로 인터넷뱅킹이나 모바일뱅킹 등 일선 수협 상호금융 비대면 채널에 해외 IP로 접속할 경우 이체 거래와 보안매체 사용이 차단된다. 전자금융 서비스에 가입한 개인 고객은 영업점 방문이나 인터넷·모바일뱅킹(파트너뱅크)을 통해 신청하면 즉시 이용 가능하다. 다만 해지는 보안 강화를 위해 영업점을 방문하거나 국내 IP로 접속한 모바일뱅킹을 통해서만 할 수 있다.
수협중앙회는 이번 서비스 외에도 금융거래 안전망을 지속적으로 확충해왔다. 보이스피싱과 명의도용 예방을 위해 비대면 계좌 개설 및 오픈뱅킹 차단 서비스를 도입했으며, 고객 생체 정보를 금융결제원에 분산 저장하는 안면 인증 시스템도 고도화했다. 이상금융거래탐지시스템(FDS) 개선과 전담 감시 인력 확충 등 디지털 보안 체계도 강화했다.
노동진 수협중앙회장은 "이번 서비스는 해외 범죄 조직으로부터 고객 자산을 안전하게 지키기 위한 장치"라며 "앞으로도 고객 보호를 위한 혁신적인 디지털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개발하겠다"고 밝혔다.
키워드
#수협중앙회
관련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