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제 신용평가사들이 글로벌 자동차업체 신용등급을 줄줄이 낮추는 가운데 현대차와 도요타만 안정적 평가를 유지하며 경영 안정성을 입증했다.
9일 자동차업계에 따르면 피치는 최근 현대차를 A-, 도요타를 A+ 등급으로 유지하고 전망도 '안정적'으로 평가했다. 무디스·S&P와 함께 세계 3대 신용평가사로 꼽히는 피치의 20개 등급 체계에서 A+는 상위 5번째, A-는 7번째로 신용위험이 크게 낮다는 뜻이다.
피치는 미국 관세에 따른 단기 수익성 악화 우려에도 제품·브랜드 경쟁력과 판매 지역·파워트레인 다각화, 재무 건전성을 고려해 등급을 유지했다고 설명했다.
반면 다른 완성차 브랜드들은 잇따라 강등됐다. 피치는 올해 닛산을 투자부적격 등급인 BB로 낮췄고, 혼다(A)와 폭스바겐(A-)은 등급은 유지했지만 전망을 '안정적'에서 '부정적'으로 조정했다. '부정적' 전망은 통상 2년 내 신용등급 강등 가능성을 시사한다. 피치는 폭스바겐의 중국 시장 경쟁 심화와 현금흐름 감소, 혼다의 자동차 부문 수익성 저하에 따른 사업 포트폴리오 불균형을 지적했다.
이에 따라 부정적 전망을 받은 브랜드들이 향후 강등될 경우 A- 이상 등급에는 도요타와 현대차 등 아시아 브랜드만 남을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두 업체가 안정적 평가를 받은 배경에는 친환경차 경쟁력이 자리한다. 업계는 미국에서 전기차 보조금과 최저연비기준(CAFE) 벌금이 사라지면 하이브리드 파워트레인을 보유한 한·일 완성차 점유율이 확대될 것으로 보고 있다. 아울러 두 업체는 전기차부터 수소전기차까지 친환경차 풀라인업으로 지역별 상이한 정책에 대응이 가능하다는 평가다.
무디스와 S&P도 올해 글로벌 업체들의 등급을 대거 조정했다. 무디스는 폭스바겐을 A3에서 Baa1으로 강등했고, 도요타 전망을 '긍정적'에서 '안정적'으로, 스텔란티스는 '안정적'에서 '부정적'으로 낮췄다. S&P는 혼다(A-)·스텔란티스(BBB)·포드(BBB-) 전망을 '부정적'으로 전환했다.
세계 3대 평가사 모두에서 A 등급 이상을 유지하면서 전망 하향 없이 '안정적' 평가를 받은 업체는 현대차가 유일하다. 현대차는 무디스 A3, S&P A-, 피치 A- 등급을 받았다.
- 현대차·기아, '2025 레드 닷 어워드'서 14관왕 달성
- 호세 무뇨스 현대차 사장 "위기대응력, 우리 DNA의 일부"
- 현대차그룹, 엔비디아와 'AI 기반 모빌리티 혁신' 본격화
- 이재용·정의선·젠슨 황 'AI 깐부'의 밤…미래 기술 '삼각축' 확인
- 현대차∙기아, 세계 유일 '2-스테이지 모터시스템' 기술 영상 공개
- 현대차, 인니에 전기버스 10대 공급…친환경 교통 생태계 구축
- 현대차그룹, 평택항 '탄소중립 수소항만' 조성 업무협약 체결
- 현대차 지성원 전무, 대한민국디자인대상 대통령상 수상
- 美, 한국산 자동차 관세 15%로 인하…반도체 조건도 명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