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아가 영국 최대 규모의 장애인 대상 리스 차량 운영사 '모타빌리티(Motability)'와 손잡고 맞춤형 모빌리티 확대에 나선다고 4일 밝혔다.
양사는 지난 3일 서울 서초구 기아 사옥에서 영국 내 목적 기반 모빌리티(PBV) 보급 확대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협약식에는 송호성 기아 사장, 김상대 PBV비즈니스사업부장, 앤드류 밀러 모타빌리티 CEO, 다미안 오톤 CCO 등 주요 관계자가 참석했따.
모타빌리티는 약 86만 명의 고객과 3만5000대의 휠체어용 차량(WAV), 9만4000대의 전기차(EV)를 운영 중이며, 전기 휠체어 탑승 차량 콘셉트 모델 ‘eVITA’ 개발 등을 통해 이동약자 중심의 서비스를 지속 확대하고 있다.
이번 협약은 휠체어 탑승자를 포함한 다양한 고객의 이동 편의성과 자동차 산업의 전동화 방향성에 대한 양사의 공감대를 바탕으로, 기아의 PV5 WAV 등 PBV 라인업을 활용해 글로벌 시장의 모빌리티 수요 변화에 선제 대응하겠다는 의지를 반영한 것이다.
기아는 이번 협력을 통해 내년 중 PV5 및 PV5 WAV 기반의 개조 모델을 영국 시장에 선보일 계획이다. 해당 모델은 △이용자 전반을 고려한 유니버설 디자인 △휠체어 탑승 편의를 위한 측면 승하차 구조 △휠체어 벨트 고정 시스템과 보호자 동승용 팁업 시트 △넉넉한 실내 공간 등을 갖췄다.
PV5 WAV는 기아의 PBV 전용공장인 화성 EVO 플랜트에서 생산되며, 생산·운영 전반에서 자원 낭비를 줄여 지속가능성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기아는 이를 시작으로 포용적 이동성 실현을 위한 첫 발을 내딛는다.
기아는 2026년부터 모타빌리티에 PV5 기본형 및 PV5 WAV 모델을 공급하고 모타빌리티는 이를 활용한 서비스를 영국에서 본격 운영할 예정이다.
또한 양사는 PBV 라인업별 WAV 공동 개발뿐 아니라 △고객 충전비 절감을 위한 스마트 충전 솔루션 △V2H(Vehicle To Home) △V2G(Vehicle To Grid) 등 차세대 에너지 관리 기술 분야에서도 협력할 방침이다.
양사는 향후 WAV 시장 데이터를 기반으로 대형 PBV ‘PV7’의 WAV 컨버전 모델 개발도 공동 추진한다.
송호성 기아 사장은 "PV5 WAV는 교통약자의 이동권 향상과 편의 증진에 기여할 수 있는 기아 PBV 기술의 잠재력을 잘 보여주는 사례"라며 "이번 협약은 지속가능한 모빌리티 실현을 향한 기아의 방향성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앤드류 밀러 모타빌리티 CEO는 "이번 MOU는 모타빌리티의 포용적 디자인 비전을 현실화하는 중요한 단계"라며 "측면 승하차 방식의 WAV 전동화 모델 개발을 통해 리스 고객에게 실질적인 가치를 제공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기아는 '지속가능한 모빌리티 솔루션 프로바이더'라는 비전 아래 이동약자의 여행을 지원하는 '초록여행' 등 다양한 사회공헌 사업을 통해 이동권 향상에 힘쓰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