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생성 이미지
AI 생성 이미지

현대건설과 대우건설의 산재보험급여 지급액이 2018년 이후 해마다 증가세를 이어온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5년 동안 각각 103%, 84% 늘어나며 2000억원 안팎을 기록해 건설업계 안전관리 체계의 구조적 한계를 드러낸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29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지난 26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박해철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고용노동부로부터 제출받은 '30대 건설사 연도별 산재보험급여 지급 현황'에 현대건설이 2019년 193억원에서 지난해 392억원으로 관련 수치가 뛰어 10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대우건설의 산재보험급여 지급액이 202억원에서 371억원으로 84% 늘었다.

또 2018년부터 올해 상반기까지 누적 기준으로는 현대건설이 2034억원, 대우건설이 1941억원으로 업계 최상위권을 기록했다. GS건설(1626억원), 삼성물산(1194억원), 롯데건설(1139억원), SK에코플랜트(1084억원), 디엘이앤씨(1078억원), 포스코이앤씨(1065억원) 등도 수천억원대에 달했다.

연도별 증감이 엇갈린 다른 대형사들과 달리 현대건설과 대우건설은 매년 꾸준히 증가세를 이어온 것이 특징이다. 

산재 리스크는 중견사들로도 확산됐다. 계룡건설 590억원, 서희건설 554억원, 금호건설 564억원, 태영건설 541억원 등 주요 중견사들이 모두 500억원대를 기록하며 사고 부담이 커졌다.

이는 안전 관리 부실이 업계 전반으로 번지고 있음을 드러낸다. 특히 지역 거점 현장에서 중소 협력업체 노동자들이 다수 투입되는 구조적 특성이 반영된 결과라는 분석도 나온다.

전문가들은 산재보험급여 증가가 곧 사고와 사망의 반복을 의미한다고 지적했다. 산재보험급여 지급액이 증가했다는 것은 그만큼 업무상의 이유로 사망 또는 부상이나 질병 등의 재해를 입어 각종 급여 지출이 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는 다음 달 15일 고용노동부 국감을 시작으로 28일 노동부 종합감사까지 진행할 예정인데 건설업계 산재 문제가 핵심 쟁점으로 다뤄질 가능성이 크다.

여야 모두 산재 책임을 따지는 분위기여서 건설사 최고경영자들이 증인석에 올라 직접 책임 공방에 휘말릴 가능성도 크다. 과거에도 환노위는 대형 건설사 대표를 국감 증인으로 불러 세워 현장 관리 부실을 질타한 바 있다. 

업계 안팎에서는 산재보험급여 증가세가 쉽게 꺾이지 않을 것으로 본다. 건설경기 침체로 원·하청 간 비용 절감 압박이 커지는 상황에서 안전 인력과 설비 투자가 후순위로 밀리고 있어서다.

결국 산재보험급여 증가는 단순한 수치가 아니라 현장의 안전관리 한계를 드러내는 신호라는 게 전문가들의 공통된 지적이다. 업계 구조가 바뀌지 않는 한 건설 현장의 사고와 그 비용 부담은 반복될 수밖에 없다는 얘기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