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 지방은행노조협의회가 지역균형발전 실현을 위해 지역금융 활성화를 강력히 촉구하며 제도 개선을 요구하고 나섰다.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 지방은행노조협의회(지노협)는 지난 7월31일 성명을 통해 “지방은행은 수십년 간 지역경제의 버팀목 역할을 해왔지만, 인구감소와 산업기반 붕괴로 존립 자체가 위협받고 있다”며 지역금융 활성화 대책을 4일 촉구했다.
지노협은 “정부와 지자체의 지원정책 미비로 지역산업에 대한 투자가 이뤄져도 지역금융을 통한 선순환 구조가 형성되지 못하는 것이 가장 큰 문제”라고 지적했다. 이재명 대통령이 ‘지역균형발전은 대한민국의 생존전략’이라고 밝힌 점에 공감하며 지역자금이 지역 내에서 순환할 수 있는 금융망 구축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현재 지자체와 교육청의 금고 선정에서 지역은행이 외면받고 있고 지방 이전 공공기관의 금융거래도 시중은행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는 현실을 지적하며 “공공부문부터 지역은행을 우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특히 금고 선정 시 지역금융 거래 실적을 경영평가 항목에 반영하는 방안을 제안했다.
지노협은 지역은행이 처한 이중규제 문제도 거론했다. “지역은행은 제한된 영업권과 낮은 자본력에도 시중은행과 동일한 규제를 받고 있다”며, 경기대응 자본규제 및 스트레스 완충자본 기준을 차등 적용하고, 지방 아파트 중도금대출 등 지역 특화 금융상품은 총량 규제에서 예외를 둬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원호 지노협 의장(전북은행 노동조합 위원장)은 “지역균형발전은 단순한 기관 이전이 아니라 지역금융 네트워크를 살리는 데서 출발해야 한다”며 “전북은행을 비롯한 지역은행들이 지역금융의 중심 역할을 다할 수 있도록 제도적 기반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지노협에는 전북은행지부, iM뱅크대구은행지부, 부산은행지부, 경남은행지부, 광주은행지부, 제주은행지부 등이 참여하고 있다.

